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적인 노모스: 최인훈 문학의 ‘최종적 적대 상황’에 대해 (Divine Nomos: Exploring the “Final Hostile Situation” in Choi In-hoon’s Litera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4.12
29P 미리보기
신적인 노모스: 최인훈 문학의 ‘최종적 적대 상황’에 대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26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윤인로

    초록

    이 글은 작가 최인훈의 연작 「총독의 소리」(1967~1976)의 정치적 상상력을 재구성해 본 것이다. 그런 재구성의 초점은 최인훈이 자신의 연작에 대해 사후적으로 언급한 ‘최종적 작중 상황’이라는 것에 맞춰져 있는데, 그것을 ‘총독’과 ‘시인’의 관계로부터 적출할 수 있을 반복과 차이(강조와 적대)를 통해 검토했다. 먼저, 패전 이후에도 한반도 지하에 숨어든 총독(‘지하총독부’)의 제국부활론·전후세계론·후(後)식민지론·신정정치론을 “혁명내란공세”, “기하급수적 간접화(매개화)”, “미궁적 세계”라는 총독적 세계정치의 키워드로 분석했다. 그 연장선에서 관건으로 설정한 것은 제국의 부활을 위한 절대적 조건으로서의 한반도, 그 ‘땅’에 대한 총독의 인식론이다. 예컨대 “권토중래”해야 할 “구령(舊領)”과 “실지(失地)”, “복지(福地)”, “성지(聖地)”, “신국으로서의 제국의 신역(神域)”, “성역(性域)” 등으로 이뤄진 의미연관이 그것이다. 이를 정치적·법적·종교적 일체화 형상으로서의 노모스라는 관점에서, 그런 노모스를 위한 측량과 취득이라는 맥락에서 검토해 보았다. 뒤이어, 총독적 세계정치의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는 시인이 그 키워드를 통해 다름 아닌 총독을 거짓 메시아성에 뿌리박은 ‘진정한 적’으로 설정하게 되는 과정을, 낡은 노모스의 지양이라는 관점에서, 그런 관점이 새로운 노모스의 시작을 위한 근원적 측량상태로 집약되어 있는 시인의 두 시어 “컴퍼스”와 “세모자”의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reconstruct the political imagination underpinning Choi In-hoon’s novel series Voice of the Viceroy(1967–1976),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ncept of “ultimate situation” within the text―an idea Choi referenced retrospectively in relation to the series. To achieve this, the article explores the “ultimate situation” through the dynamics of repetition and difference―or of emphasis and antagonism―which can be extra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Viceroy of Korea and the poet. The analysis first begins by examining key themes: the theory of imperial revival, post-war theory, post-colonial theory, and theocratic politics as articulated by the Viceroy, who remained hidden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II. These themes are framed using the Viceroy’s key concepts of world politics: “offensive through revolution or civil war,” “exponential indirection (mediatization),” and “labyrinthine world.” At the heart of this inquiry lies the Viceroy’s epistemological view of the Korean peninsula’s “land,” envisioned as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the Japanese empire. This article analyzes the Viceroy’s perspective through the concept of nomos as a unified political, legal, and religious entity,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measurement and acquisition for such nomos. It then delves into the process by which the poet, who shares the Viceroy’s key concepts, transforms the Viceroy into a true enemy grounded in false messianism—achieved through the very same concepts. The focus is on the poet’s two poetic symbols, “compass” and “set square,” which are condensed into a fundamental state of measurement for the beginning of a new nom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