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공론장에서의 여성 담론 : 연설체 신소설을 중심으로 (A Discourse of Women in Modern Public Sphere - Focusing on the Oratorical Sinsose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4
27P 미리보기
근대 공론장에서의 여성 담론 : 연설체 신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34호 / 61 ~ 87페이지
    · 저자명 : 이선옥

    초록

    이 글에서는 연설체 신소설을 중심으로 공적 담론장에서 여성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설체 신소설을 공론장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이유는 당시 정치적, 사회적 담론과 거의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있는 장르적 특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연설체 신소설 중에서 여성담론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으로는 『자유종』, 『금수회의록』이 있으며, 연설방법을 설명한 『연설법방』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1890년대에서 1910년대 사이 근대로의 진입기는 여성이 공적 세계로 진입하는 시기이면서 여성이 말하기의 주체로 등장한 시기이다. 여성들이 공적 세계에서 자신의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전통적인 거내이불언외(居內而不言外)의 규범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었으며, 말하기 경험 자체가 여성들을 고무시켰던 것은 중요한 여성 주체의 경험이었다. 이러한 여성의 말하기가 가능했던 것은 애국주의 이념과 근대적 국민주권 이념이 결합하면서 여성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규정되었고, 새로운 말하기 형식으로 등장한 연설, 토론이 여성의 공적발언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연설체 신소설을 통해 본 여성담론은 여성이 문란한 계몽 대상으로 구성되거나, 생활세계의 경험이 부정적으로 그려지고, 여성적 언어의 감수성이 삭제되는 전형적인 남성적 제도로의 재기입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유종』에서는 한문 대신 새로운 한글공론장으로 이전한 남성지식인이 그동안 한글 사용자였던 여성들의 언어를 전유하면서 내용적으로 새로운 언어위계를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간의 한글소설은 허랑, 방탕, 퇴폐한 글이었으며, 한글세계에 있었던 여성들은 그간 한 글자도 지식을 몰랐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몽연설을 통해 오랫동안 여성의 언어였던 한글의 세계는 지식의 세계가 아니었다는 자기부정을 거치고 다시 남성적 지식의 세계로 재편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omen’s discourse of the oratorical Sinsoseol which was written by speech form, 1890-1910, and to examine how to be called and composed modern women focusing on the oratorical Sinsoseol. The reason to inspect the oratorical Sinsoseol in the aspects of the public sphere which forms public opinion is more of political discourse which communicates with media discourse than completed structure as a genre. Sinsoseol of speech form is a novel genre to make narrative of speech. Particularly this paper focuses on Ahan Kooksun’s 『Yeonseulbeubbang(Method of speech)』, 『Kumsuhoeirok』, and 『Jaujong』 from Lee Haejo, which deal with women subject. Ahan Kooksun’s novel deals with equality between women subject and men subject in mod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his novel makes women as a target of the enlightenment. And so his novel invented a culture of women as a symbol of disgraceful Joseon and besides dirty and promiscuous sexuality. Lee Haejo’s novel depicts a woman protagonist as a speaker who makes an enlightenment discourse. But the woman protagonist in Lee Haejo’s novel speeches self –denial discourse that Hangeul novels which women readers have been reading for a long time are obscene, miserable and fanciful. Between 1890 and 1910 which called early modern era was the period that women tried to enter the public society and they also began to appear as a subject of speeches. The experience with participation in speeches or debates inspired women to be being a subject of female.
    As patriotism and ideology of modern national sovereignty were combined, women began to be considered as a nation. Speeches which enabled women to say an official statement and debates were also one of the main causes to stimulate that idea. However the discourse of women and the view of language through the oratorical Sinsoseol showed the typical reversion to a male dominated society, which deleted the sensibility of feminine language and described that women were the promiscuous subject to be enlightened and the ignorant people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world of life. Particularly 『Jaujong』 showed the process that male intellectuals shifted to a new public sphere which used Hangeul instead of Chinese character, Hanmun. They exclusively possessed the language of women and then they also built a new contextual hierarchy of language. Until that time, Hangeul novels had been often considered to be decadent and dissipated and the women who had used Hangeul were even ignorant of a letter. Though women protagonist appeared as a speaker, after self denial that the world of Hangeul did not mean the world of knowledge, Hangeul was reorganized to male-oriented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