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고질라』 담론에 나타나는 국민국가론의 자폐성 비판 (Criticism of the Autism in Norihiro Kato’s Theory of Nationality in Shin Godzill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9.02
36P 미리보기
『(신・)고질라』 담론에 나타나는 국민국가론의 자폐성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8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신하경

    초록

    『신고질라』는 개봉 이후 하나의 거대한 담론장을 형성해 왔으며, 이것은 ‘재해와 자국방위’에 대한 일본인들의 의견을 정리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중에서 ‘고질라=일본군영령’설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에는 1990년대 가토 노리히로의 영향력을 볼 수 있다. 이를 ‘외부자의 시선’으로 검토하였다.
    이 영화는 서사적으로 볼 때, 재해, 전후 일본과 미국의 관계 및 자위대 문제, 일본정부의 위기극복 시스템, 해결되지 않는 결론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간다. 그에 따라 담론도, 재해와 전쟁, 재해와 자위대, 고질라=영령설, 일본정부에 대한 환상, 본토결전의 욕망, 미완의 파시즘이 구현된 영화 등으로 전개된다. 이 현재적 담론은 1990년대 『고질라』 담론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1990년대 담론에서 가와모토 사부로가 가해의식을 바탕으로 피해의식도 포함하는 당시의 가장 공적인 의견을 대변했다면, 아카사카 노리오는 일본 전후의 모순을 천황제에서 보는 의견을 투사한다. 그리고 사토 겐지의 주장은 타자의 목소리에 대한 응답이라는 맥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들과는 다르게 가장 영향력이 컸던 가토 노리히로의 주장은 고질라를 ‘내셔널 아이덴티티’ 논의로 귀결시키는 것이었다.
    가토 노리히로는 『신고질라』에 대해 ‘덴츠’ 문화 속에서 당대의 금기에 도전하는 영화로 규정하는 데, 그것은 현재 횡행하고 있는 배타적 내셔널리즘에 대한 영합이라고 생각된다. 가토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고질라가 다층적 문화 표상이라는 해석에서 내셔널 아이덴티티 구축이라는 협소한 방향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국민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자에 대한 인식이 삭제되고, 미국과 일본 만의 관계로 닫혀지는 ‘내셔널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의 자폐구조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hin Godzilla has given rise to widespread discourse in Japan since its release. They have shown the Japanese people's views on disasters and national defense. Among them, the argument for “Godzilla = Japanese military spirit” is strongly expressed, from which we can see the impact of Norihiro Gato's argument in the 1990s. This paper reviewed hi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In the discourse of Godzilla in the 1990s, Saburo Kawamoto represented most of the public opinion at the time, which was based on the perpetrator’s view of history including that of victims of the Japanese. Norio Akasaka offered his opinion on the contradictions of post-war Japan in the Ten'nōsei. Kenji Sato's argument could be considered as a response to the voice of “others.” Unlike these claims, Norihiro Kato's claim settled the meaning of Godzilla in the form of the national identity of Japan.
    Kato says Shin Godzilla challenges contemporary taboos in “Dentsu(電通)” culture, which means the limitations of popular culture in capitalism. This paper argued that such an idea was flattery to the current prevailing nationalism. Based on the review of Kato's discussions, we can say it shows the process of narrow convergence of interpretations from Godzilla’s being a multi-layered cultural symbol to national identity of Japan; in the desire of forming national identity,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deleted, and only remains as a cognitive autistic structure between Americ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