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령과 신위: 한국종교에서의 신위에 대한 물질적 접근 (Spirit and Spirit Position: A Material Approach to Korean Relig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2.03
35P 미리보기
신령과 신위: 한국종교에서의 신위에 대한 물질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종교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비평 / 41권 / 41호 / 138 ~ 172페이지
    · 저자명 : 한승훈

    초록

    이 논문은 전근대 한국종교의 맥락에서 신위에 대한 물질적 접근을 시도한다.
    종교학과 인접 학문들에서 ‘물질적 전회’를 받아들이는 방식에는 크게 두 경향이있다. 하나는 문헌 중심 연구에 대한 대안으로 해석해야 할 텍스트에 물질문화를포함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물질주의의 범주에 포함되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개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향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역사적, 인류학적 접근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종교의 물질적 측면에 주목하는 것이 유용함을주장한다. 연구 대상인 신위는 ‘의례의 방향을 지정하는 물질적 대상’을 지칭한다. 물체가 신위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원형과의 도상적 ‘닮음’과 사회적, 의례적‘관계’라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소상과 같은 정형적 신위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모델이 되는 신령과 충분히 닮을 필요가 있다고 믿어졌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목표로 한 신령이 아닌 사귀의 거처가 될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따라서재료의 재질이나 내구성이 비상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향교에 모셔진 공자 소상에 대한 김종직의 비평이 중심적인 텍스트로 다루어졌다. 한편 비정형적인 신위는 화려함이나 장엄함보다는 표준적 규격의 준수와 엄숙함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의례가 끝나면 소각되는 일회용 신위인 지방은 모호한 의례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성한 대상으로 여겨졌으므로,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한 이차적 담론을 필요로 했다. 내구성을 결여한 지방과는 달리, 반영구적인 신령의 거처로 취급된 나무 신주는 초자연적인 변괴를 일으킬 수 있는민속적 믿음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전근대 한국인들에게 신령은 신위로서 제작된 사물과 결합하여 특정한 행위를 하는 것으로 상상되었다. 그것은 결코 물질세계와 분리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영적’인 존재가 아니었다. 이상과 같이 신위를물질적 대상의 범주에서 다룸으로써, 우리는 전통적인 교의적, 제도적 접근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종교적 심성과 실천에 대한 비교론적 시각을 환기할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a material approach to the problem of the “spirit position” (神位) in the context of pre-modern Korean religion. There are two major trends in accepting “material turn” in the religious studies and adjacent disciplines. One is to bring material culture into the text to be interpreted, making it as an alternative to literature-based research. And the other is to take seriously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sights included in the trend of New Materialism.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useful to focus on the material aspects of religion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 spirit position refers to “material objects that designate the direction of rituals.” In order for an object to be recognized as a spirit position, two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an iconic “similarity” to the prototype and a social and ritual “relationship.” It was believed that, in order for a figurative spirit position to work, it should resemble the model spirit sufficiently. Otherwise, it would be the residence of wrong spirits rather than the target spirit. Therefore, the quality or durability of the material has become a matter of extraordinary interest. For this regards, Kim Jong-jik's critique on the statue of Confucius enshrined in a Hyanggyo provides central discourses.
    On the other hand, the non-figurative spirit positions focus on the observance of standards and the solemnity rather than the splendor or the magnificence. In particular, the spirit papers (紙榜) which is a disposable spirit position that is burned at the end of the rite, were still regarded as sacred objects despite their ambiguous ritual status, so the secondary concept was needed to justify it.
    Unlike spirit papers that lacked durability, wooden tablets, treated as semi-permanent dwellings of spirits, became objects of folk beliefs that could cause supernatural events. For pre-modern Koreans, spirits were imagined to perform specific actions combining with manufactured objects as their position. It was never “spiritual” in the sens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material world. As described above, by treating the spirit positions in the category of material objects, we will be able to evoke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religious mentality and practice that has been rar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raditional dogmat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