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한반도 刺突漁業의 전개와 성격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Fishing with Harpoons and Spear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olithic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한반도 刺突漁業의 전개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1권 / 1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배형곤

    초록

    본고의 목적은 신석기시대 한반도 자돌어업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돌어구의 기능적 속성에주목하여 기종을 재검토한 뒤 형식을 분류하고 시·공간적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자돌어업 방식을유추하기 위해 유적별 자돌어구와 동물유체의 공반관계를 살펴보고, 직접 및 민족지자료를 참고하여 양자의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정식작살은 한반도 자돌어구의 중심 기종으로 찌르개, 분리식작살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전반적으로 자돌어업은 신석기시대 조기와 전기에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성행하였고, 중기가 되면남해안지역 동부와 동북부지역으로 축소된다. 이러한 경향은 후기와 말기로 갈수록 점차 두드러진다. 그렇지만 오히려 동삼동 유적과 서포항 유적은 이 시기에 집중적인 자돌어업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자돌어업은 고정식작살, 분리식작살, 찌르개를 이용하여 해수류와 어류를포획하였을 개연성이 짙다. 특히, 자돌어구와 해수류의 밀접한 연관성을 비추어 볼 때, 기각류 가운데 ‘강치’ 를 주 대상으로 포획했을 것이다. 강치의 경우 근접 포획할 수 있어 고정식작살 또는 찌르개를 사용하는 것이가장 유효했기 때문이다. 북일본과 비교해 기술형태학적으로 古式의 분리식작살이 지속해서 사용되어 온 사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즉, 근접 포획에 적합한 생태환경은 분리식작살 발달의 원동력을 만들어내지 못했고, 이는 한반도의 특징적 자돌어업 문화를 형성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ishing with harpoons and spears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For this purpose, tool form was first examined, with focus on its functional nature. Based on this, type classification took place and the process of spatio-temporal development was examin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inferences on methods of fishing with harpoons and sp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ols and animal remains was examined, with verification undertaken using direct and ethnographic re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ixed harpoon was the main type; they represent the highest proportion, compared to spears or detachable harpoons. In general, fishing with harpoons and spears in the Incipient and Early Neolithic periods was prevalent in the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this was restricted to the eastern and northeastern zones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This tendency became more and more prominent into the Late and Epi- Neolithic Periods. On the other hand, the sites of Dongsam-dong and Seopohang appear to have witnessed more intensive fishing using harpoons and spears in these later periods.
    Fishing using harpoons and spears in the Neolithic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consisted of the use of fixed harpoons, detachable harpoons, and stingers as a means of capturing fish and sea mammals.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etween fishing gears tools and sea mammal remains seems to suggest that among pinnipedia, ‘sea lions’ were the main target. This may be because sea lions could be most effectively captured from a close range, using fixed harpoons or stingers. This possibility is also attested by the fact that, compared to northern Japan, the ‘old style’ in terms of technical morphology continued to be used. In other words,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was suitable for proximal capturing did no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detachable harpoons, and this must have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 culture of fishing with harpoons and spears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