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n Korean SM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11
31P 미리보기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성과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28권 / 11호 / 2851 ~ 2881페이지
    · 저자명 : 김호, 김병근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시장의 환경과 기업이 보유한 자원의 제약 속에서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전략, 신제품 개발과정과 조직적 요인들이 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학문적인 기여와 함께 정책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수행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증문헌에 대한 리뷰 및 메타분석 문헌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실증연구 중에서 신제품 개발의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을 탐구한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중소기업에 관련된 연구, 한국적 맥락을 포함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실증문헌을 재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성과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기존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조사는 기업담당자에게 유선 전화를 통하여 사전에 설문에 대한 의향을 조사하고 메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업이 수행한 신제품 개발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요인에 대하여 쌍으로 비교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신제품의 성과와 다양한 요인들 간에 상관분석, 성공과 실패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확인된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규모에 관계없이 제품의 경쟁우위, 개발과정, 그리고 개발과정의 이후 단계인 시장출시 노력 등이 성공에 매우 높은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기업의 경우 개발과정의 이후단계인 시장출시 노력이 성공에 매우 높은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시장 환경의 요인은 상관관계 분석이나 성공과 실패간의 차이검증 결과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장경쟁정도가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다른 변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기업유형별로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에 많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기업의 경우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출시노력을 꼽을 수 있었으며 신제품 개발과정의 능숙함, 신제품의 경쟁우위, 신제품의 속성, 개발부서간 의사소통 수준 등은 중소기업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에 중요한 요인을 종합하여 보면 중견․대기업과 비교하여 시장의 출시노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외에 일반 중소기업의 경우 신제품의 특성이나 아이디어의 속성 등이 중요하고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우 신제품 개발부선 간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strategy, process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 Korean SMEs with relatively limited resources under a variety of market environment. This paper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s in the field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cluding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es, some determinants in new product performance are common but there are contextual factors depending on phases of industrial development,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SMEs and large firms in several areas of new product development. Despite the fact that most NPD researches have examined the process only in large firms in developed countrie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in Korean SMEs.
    Using a refined classification of antecedents of new product performance in Korean firms,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Our model includes thirteen factors related to five categories (market, firm strateg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rganization). Based on the model, we developed an 12-page long questionnaire, containing more than 70 items. We selected several firms and carried out pilot test to confirm the consistenc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164 Korean firms. The firms range in size from fewer than ten to over 300 employees. They mainly operate in the chemical and allied products, electronic sector, industrial and commercial machinery,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sectors, developing and manufacturing a variety of products from completely integrated systems to discrete components. CSFs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se firms derived from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paired difference tests between successful products and unsuccessful produc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as also compared previous existing researches.
    The main findings from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firm size, product advantage, proficiency in development process, and market launch effort are very important determinants in new product performance. Among those things, market launch effort appears to be a main factor of new product success in SMEs. Second, an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market attractiveness is not critical to the new product success but there are interaction effects with other variable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critical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firm. In case of small firm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market launch effort. Proficiency of the formal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product advantage,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ross-functional interfaces are also correlated to success of new product but the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firms.
    In conclusion, market launch effort i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Korean SMEs compared to large firms . In addition to that, in case of non-innovative SMEs the nature of new product idea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new product are important. On the contrary, communication betwee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s (cross-functional interface) are important determinants in innovative SMEs (Inno-Biz).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by deepening understanding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The empirical findings also have important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Because SMEs can have fewer marketing capabilities, more effort and resources need to be devoted to marketing-related activities. For government policy-makers, marketing assistance or market research support is needed to help innovating S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