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힌두교와 불교에서 방위와 수호신의 관계 비교 (A Study of the Comparison of Relationship between World-protectors in Hinduism and Buddhis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2.08
39P 미리보기
힌두교와 불교에서 방위와 수호신의 관계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5호 / 151 ~ 189페이지
    · 저자명 : 변순미

    초록

    보편적으로 인도인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던 세계수호 신들은 약화 된 브라만교 시대의 중요했던 신들로, 동쪽은 Indra, 남쪽은 Yama, 서쪽은 Varuṇa, 그리고 북쪽은 Kubera가 담당했다. 그러나 두 서사시 Mahābhārata와 Rāmāyaṇa를 통해서 살펴보면 그 수호신들의 방위가 정착되기 까지 수호신들의 방위에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방(四方)의 수호신들이 힌두교 시대에는 더욱 발전된 형태로 각 방위 사이에 수호신들이 등장하여 여덟 방위의 신으로 나타났는데, 북동은 Soma, 남동은 Agni, 남서는 Sūrya 그리고 북서는 Vāyu가 역할을 맡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힌두교의 세계의 수호신(Lokapālas)들이 그 역할을 시작하는 시점과, 방위의 신으로서 사방(四方)에서 팔방(八方)으로 변천하는 과정을 Manu와 두 서사시 Mahābhārata, Rāmāyaṇa, 그리고 Harivaṁśa와 Purāṇa들을 통해서 고찰하고 이러한 힌두교의 세계수호신의 개념이 불교 세계관인 호세 팔방천으로 도입 되었다는 일반적인 생각을 각 방위에 배치 된 신들의 이름을 통해서 살피면서, 동시에 이 신들의 역할을 통해서 힌두교와 불교의 세계 수호신과 호세 팔방천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 차이점은 사이 방위인 힌두교의 북동의 Soma가 불교에서는 Īśāna로 그리고 남서의 Sūrya가 Nirṛti로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되었는지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추정을 통해 얻은 것은 인도라는 지리학적인 조건과 같은 종교 문화적인 토대에서 비록 불교에서 힌두교 신들의 이름을 차용하고 있지만, 불교에 흡수 된 힌두교의 세계 수호신들은 불교에 융화 되면서 선신(善神)으로 역할이 바뀌고 불법(佛法)과 제존(諸尊) 그리고 불교를 수행하는 수행자를 보호 하기 위한 보호신으로 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Common to Indians that were widely accepted the world-protectors as the gods of Brahmanism. Two epics Mahābhārata and Rāmāyaṇa, looking through the direction of world-protectors to be settled,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their directions(cardinal points, Yama, Varuṇa, Kubera, Indra). But in later the eight gods are found as Lokapālas in Manu but without exact indication of the localities assigned to the individuals. The eight gods are grouped as guardians of the four chief and four subsidiary directions, Sūrya of the south-west, Soma of the the north-east, Vāyu of the north-west, Agni of the south-east, and for cardinal points, Yama of the south, Varuṇa of the west, Kubera of the north, and Indra of the esat. Some late authorities make Nirṛti the guardian of the north-east, instead of Sūrya and Pṛthivī or Śiva, Īśāna the guardian of the north-east, instead of Soma. We can found it in Buddhism also.
    So here, I looked about Lokapālas and when they start their role, as guardians of the four chief and four subsidiary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hrough the study of Manuand two epics Mahābhārata, Rāmāyaṇa, and Harivaṁśa, Purāṇas. The concept of the Hinduism world-protectors absorbed in Buddhism and general thought name of the gods to lead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it will be known. But Hinduism and Buddhis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s gods. In Hinduism northeast and southwest of Sūrya and Soma in Buddhism was replaced by Īśāna and Nirṛti. Here I estimated the course of these changes.
    In Buddhism, the absence of Soma and the emergence of Īśāna can be explained from several perspectives. Soma who is responsible for this world of the Brahmaism, but weakened the strength of Hinduism. As time progresses, it is estimated that Śiva's power was increased and was replaced by Soma and Buddhism, one of the Rudras Īśāna was replaced by Śiva.
    Here, at the same time Īśāna and Maheśvara described as the god of north-east. Through this description Śiva can be inferred to a replacement of Soma. Also being added later twelve guarding heaven as the concept of Candra, Soma seems to rule out the status. At the later Soma was changed to the meaning of moon. For this reason, Īśāna seems to be settled as the north-east of god in Buddhism.
    Regarding replacement of Nirṛti instead of Sūrya in west-south, it seems that position and bearing of Nirṛti already existed in the age of Purāṇas because Harivaṁśa mentioned “saptamaṁ ca tato vāyum aṣṭamaṁ nirṛtiṁ vasum”, “the seventh is Vāyu and the eighth is Nirṛti vasu.” “nirṛti” refers to negative meanings such as destruction, fall, or devil. Or “Nirṛti” is another name of Rudra.
    Regarding replacement of Nirṛti instead of Sūrya in west-south, Mahābhārata mentions "sa nairṛtīm eva diśaṃ" “west and south is the very bearing.” "Nairṛtī" means direction of west and south as feminine noun while it also means direction of west and south as neuter noun. "nairṛtī" is originated from nairṛta and Mahābhārata describes it as “hell where asura etc. live.” "nairṛti" is ghost who controls destruction and fall. Accordingly, meaning of ghost and meaning of bearing of west-south exist in mixed condition. In Buddhist scriptures, generally "nairṛtī" controlling west-south instead of Sūrya is absorbed into ghost heaven.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妙法蓮華經.
    “ten female ghosts appear before the Buddha together with Harita and followers. And they resolve to protect people who read, memorize, and keep 法華經.”Through these words, it seems that nairṛtī controlling west-south is absorbed into ghost heaven to protect Buddhist dharma while ghost who just started to learn Buddhism plays a role of good god. And as Sūrya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eda age appears in twelve guarding heaven as Āditya, Sūrya seems to be excluded from west-south.
    When Lokapālas in Hinduism and the eight gods of the world-protectors in Buddhism are compared each other, it can be known that view of the world in Hinduism was introduced to Buddhism--because names of gods correspond to placement of gods in four directions. However, the nature of the world-protectors of Hinduism and Buddhism are different. Since the Hindu gods are not to be worshiped. To defend Buddha's dharma was introduced. The reason of differences in gods placed in intermediate directions could be sought from myth and religious and social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