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기 사찰벽화의 전통성과 신경향 (Traditionalism and the New Trends of Temple Wall Paintings in Modern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12
24P 미리보기
한국 근대기 사찰벽화의 전통성과 신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2권 / 292호 / 111 ~ 134페이지
    · 저자명 : 최엽

    초록

    근대기의 사찰벽화들은 대체로 전통적인 도상과 화풍을 견지해 나가면서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도상이나 화풍에 새로운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먼저, 사찰 입구 천왕문의 좌우와 전각의 외벽에 신장상들을 그리는 전통이나 석가모니의 전기, 산수, 화조 등으로 전각을 장엄하는 전통은 계속해서 유지되었음을현전하는 벽화들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또 현전하는 벽화들과 사진자료, 문헌기록들을 통해 근대기에는 사찰 외벽 출입문 좌우, 상하에 이전시기에는 주로 내벽에 그려지던 동자형의 사자를 탄 문수보살과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이 두드러지게 그려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밖에 전각의 외벽을 토벽 외에 나무판벽으로 마감하고 그리는 사례도 다수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와 더불어 거는 형식의 불화나 일반 회화의 시대적 변화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화풍, 즉 서양화의 명암법이나 표현기법, 투시법 등이 적용된 벽화들이 제작되기도 하였고, 이에 따라 화승들이 아닌전문 화가가 자신의 화풍으로 완전히 새로운 벽화를 그려내거나 전통에서 벗어난 표현들을 사용하여 사찰의 벽화를 그린 사례들도 발견된다.
    사찰벽화는 불교미술의 종합적 고찰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우선적으로 현재 남아있는 실물을 중심으로 산재해 있는 사진과 문헌기록들을 발굴하고 정리하여 하나의 맥락안에서 검토함으로써 보다 풍부했던 사찰벽화의 모습들을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Wall paintings in temples from the modern period of Korea generally not only maintained the traditional iconography and style but also attempted a new style and icon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imes. First of all, based on extant examples, it can be argued that the following traditional practices had been continued: guardian figures painted on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ur Devas Gate, the entrance to the temple, as well as the theme of the life of Buddha, landscapes, flowers, and birds painted on temple buildings.
    In addition, analyzing extant wall paintings, photographs, and written records, I found that Manjuśri riding a lion and Samantabhadra riding an elephant, both of which had been painted on inner walls, began to be painted on the right, left,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front entrance in the modern era. Another new trend was that outer clayed walls were covered with wooden plates, on which paintings were drawn. Finally, as seen from hanging scroll-type Buddhist paintings and other painting styles in this period, a new mode of painting, influenced by the Western painting style, was adapted. In other words, Western painting’s perspective, shading, and new brush strokes were used. As a result, there are some examples of professional painters, instead of monk painters, drawing wall paintings on shrines in a temple in a completely different style or using unconventional representations.
    Wall paintings in temples should be thoroughly studied as part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Focusing on the extant wall paintings, one should find scattered photographs and written records of them and then review their context. This would be helpful to surmise a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wall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