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Plant Use in the Nam River Valley during the Neolithic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02
38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56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이경아, 윤호필, 고민정, 김춘영

    초록

    본 연구는 남강유역의 진주 대평리 어은 1지구 유적, 진주 상촌리B 유적, 진주 평거 3-1지구유적에서 확인된 식물유체 분석을 토대로 신석기시대 남강유역의 생업경제상을 고찰한 것이다. 3개 유적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식물유체는 종자, 구근, 견과류를 포함하여 약 21종이다. 식물유체중 조와 기장은 3개 유적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일부 확인된 밀과 보리는 후대 유구 교란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것은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다량의콩속(Glycine sp.) 종자와 팥(Vigna angluari )으로 추정되는 두류가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콩속종자는 작물화된 청동기시대의 콩(Glycine max )에 비해 그 크기가 작으나 팥은 거의 비슷한 크기로 주목된다. 하지만 작물화의 여부를 단순히 종자의 크기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신석기시대의 콩과 팥이 완전히 작물화되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일본 동경·구주 일대의 죠몽시대 중기의 식물유체 자료와 더불어 평거 3-1지구 유적의 식물유체 자료는 일본과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생콩(Glycine soja )이 최소한 기원전 3천년대 말 또는 2천년대 후반기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작물화도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콩과 팥의 작물화가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신석기시대 중기후반(또는 후기 전반)에 남강유역의 조 , 기장의 화본과 식물과 콩과 식물의 재배가 성행하였음을 입증하였으며, 또한 탐색적 통계분석법(exploratory statistics)을 적용하여 유구 간 식물유체 분포의 근사성을 파악하고 식물자원의 처리 및 폐기과정에서 보이는 문화적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Through archaeobotanical analysis on the three Neolithic sites in the Nam River basi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olithic economy in the regio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plant resource. Flotation samples from the Oun 1,Sangchon B and Pyeonggeo-dong 3-1 sites revealed at least 21 species of seeds, fruits,nuts, and tuber fragments. All three sites share two taxa of domesticates, foxtail millet and broomcorn millet. One of the significance of plant data from the Nam River is presence of two edible legumes of genera Glycine and Vigna. The AMS dates on millet and legumes confirm their association to the Late Neolithic period, dating to 3,050 to 2,300 cal. BC. Th Specimens of Glycine found at Oun 1 and Pyeonggo-dong are smaller than domesticated soybean (G. max) from the Mumun sites in Oun 1 and Daun-dong.
    However, a sheer quantity and prevalence of legumes indicate soybean at the Neolithic Nam R ive r s it e s wa s on e o f t h e imp o r t a nt e c onomic p l a nt s, r e g a r d le s s t o it s domestication status. On the other hand, Vigna beans at Pyeonggeo-dong resemble domesticated azuki bean (Vigna angularis) at the Daun-dong in both shapes and sizes.
    Unlike millet and rice, recent genetic studies indicate soybean and azuki were probably domesticated in multiple occasions. Plant data in the Nam River valley, along with a recent data from Middle Jomon sites in Tokyo and Kyushu supports the multi-origins of these two legumes. Overall, as the Nam River data indicates, dry farming of domesticated millets and economically important legumes contributed to the Neolithic subsistence more significantly than it has been proposed previ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