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여성-사회주의자-여성 가장으로서의 작가 박화성 (Park Hwa-seong as a new woman, female socialists, female breadwinne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신여성-사회주의자-여성 가장으로서의 작가 박화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2호 / 291 ~ 323페이지
    · 저자명 : 서여진

    초록

    박화성(朴花城, 1903-1988)은 숙명여고보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간 이듬해인 1927년 근우회 동경지회의 초대의장으로 활동할 만큼 사회주의에 깊이 관여했던 작가다. 결혼과 연이은 출산으로 인해 학업을 그만두고 고향인 목포로 돌아와 소설 집필에 매진하는 동안에도 박화성은 여러 작품을 통해 계급의식이 반영된 작품들을 창작해 나간다. 계급의식과 여성의식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그간의 박화성 문학 연구는 대부분 박화성의 작품경향 내에서 이 두 가지가 불화하는 양상을 지적하면서 박화성이 여성의식보다는 계급의식에 초점을 맞추었다거나 그의 계급의식이 철저하지 못했음을 한계로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화성의 해방 이전 단편 및 장편 『북국의 여명』에 나타난 사회주의자의 재현 양상에 주목할 경우 박화성 작품에서 계급의식이 소멸된 것은 그가 활동했던 당대의 신여성-여성작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사회주의 운동의 지속이 불가능했던 역사적 맥락, 실제적인 여성 가장으로서 운동을 지속할 수 없었던 개인적 사정 등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박화성은 주로 단편 작품을 통해 당시 사회주의 진영에서 여성사회주의자에게 요구했던 이중적이고 불안정한 여성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작품화하는 한편, 신여성이자 여성작가에 대해 문단이 가하는 비난의 시선을 다분히 의식하고 그들이 가지는 신여성에 대한 비판 담론을 수용, 작품화하는 방식으로 창작활동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신여성이자 사회주의자로서 그녀에게 가해지는 비상한 관심과 사회주의 진영 내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인식, 사회주의 검거 열풍이라는 사회적 상황과 여성 가장으로서 생계를 돌보아야만 하는 작가의 개인적인 처지에서 오는 고통은 박화성으로 하여금 더 이상 가부장적 남성들의 담론을 수용할 수 없게 만들었으며 이것이 여성사회주의자를 전면화한 『북국의 여명』과 같은 작품이 앞선 담론에 비춰 분열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박화성은 단편과 장편이라는 차이에 남성사회주의자와 여성사회주의자를 각각 초점화하는 전략을 통해 계급적 문학을 창작하기 어려웠던 현실을 드러냈다. 이렇듯 해방 이전 박화성의 작품에 나타난 계급의식과 여성의식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것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여성이자 사회주의자, 여성가장이었던 박화성의 복합적인 상황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make a fair assessment of Park Hwa-seong’s literature and her activities during the 1930s.  Park Hwa-seong(1903-1988) was a writer who was deeply involved in socialism as the first chairman of the Tokyo Branch of the Keun Woo Hoi (槿友會, (Association of Women's Movement) in 1927, the following year when she moved to Japan after graduating from Sookmyung Girls' High School. While Park Hwa-seong quit her studies and returned to her hometown of Mokpo due to marriage and childbirth, she creates works that reflect class consciousness through various works. However, Park Hwa-seong's literary research, which has been discussed mainly on class consciousness and women's consciousness, has pointed out that the two tendencies seen in Park Hwa-seong's work focus on class consciousness rather than women's consciousness, and these two conflicts. However, Park Hwa-seong's short story before liberation and "Dawn of the Northern Country(『북국의 여명』)" show different aspects, confirming that the disappearance of class consciousness in Park Hwa-seong's works stems from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new female writer of the time. Park Hwa-seong was actively engaged in the dual and unstable role of women that the socialist camp demanded of female socialists at the time, while being very conscious of the criticisms that man’s society made against new women or female writers. In other words, Park Hwa-seong was able to maintain her creative activities while being conscious of the mainstream paragraph by mirroring on the male-centered socialist movement of the time and the critical discourse about the new women in the paragraph. However, extraordinary interest on her as a new woman and socialist, her perception of female socialists within the socialist camp and conflicts within the socialist camp, and her personal situation of having to take care of a living as a matriarch made it difficult for her to continue her work. In order to identify and evaluate class consciousness and women's consciousness in Park Hwa-seong's works before liberation, the complex situation of Park Hwa-seong, a new woman, a female socialists, and a matriarch, should be fully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