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몽과 멋진 신세계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 (Enlightenment and Brave New World- Adorno's ‘Rereading Huxle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6.09
24P 미리보기
계몽과 멋진 신세계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1호 / 399 ~ 422페이지
    · 저자명 : 이하준

    초록

    헉슬리와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의 부정성을 소설과 철학이라는 언어적 문법을 통해 보여준다. 이들의 문명비판에 대한 문제제기와 내용의 상당한 근친성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논점들을 면밀하게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시각에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다시 읽기를 검토한다. 아도르노와 헉슬리는 지배이념과 지배방식을 구현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의 분석, 지배의 심리학, 자유의 상실에 대한 비판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계몽의 계몽, 문명의 독을 해결하는 방식은 사회의 구조변화와 개인적 탈주 및 부분적 개선이라는 상이한 전략을 취한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자신의 철학적 관점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명료성과 난점들을 동시에 갖는다. 헉슬리에 대한 아도르노 비판의 주요내용은 보수주의적 색채, 정신문화에 대한 관념론적 동경, 실증주의적 성격, 무정부적 개인주의, 지배의 공고화를 위한 암묵적 기여, 사회적 해방을 위한 실천적 계기성의 결핍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는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난점과 다시 읽기의 텍스트적 근거의 제한성에서 오는 한계가 있다. 헉슬리의 포드 사회에 대한 선취적 비판과 아도르노의 헉슬리 다시 읽기의 논점들은 알파고 시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Huxley and Adorno show the negativity of instrumental reason by taking linguistic grammar of novel and philosophy. Although there is a considerable similarity in the way of raising questions and its contents on their criticisms of civilization, it is hard to find out any carefully examined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Huxley’s and Adorno’s arguments of the above issu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Huxley’s Brave New World from Adorno's perspective on Huxley, namely Rereading Huxley. There seems considerable familiarity in both Adorno’s and Huxley’s analysis of social mechanism, the realization of ruling ideology, and the criticisms of the loss of freedom. But their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namely the poison of civilization, seems to be a different strategy that would show ‘changing the social structure’, ‘individual escape’, and ‘partial improvement’ under the existing social conditions. Adorno's ‘Rereading Huxley’ seems to have both clarity and difficulties simultaneously because it starts from only Adorno’s ow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main contents of Adorno's criticism on Huxley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words: conservative color, idealistic yearn for spiritual culture, a positivistic character, anarchic individualism, implicit contributing to consolidation of domination, and the lack of practical force for the social emancipation. It seems quite certain that Adorno's ‘Rereading Huxley’ reaches the limit caused by the matter of ideological aspects and the application of the limited text. This paper finally opens up the way of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era alpago throughout the examination of Huxley's preceding criticisms of Ford Society and the issues of Adorno's ‘Rereading Huxl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