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탄생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according to M. Eckhar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3.03
32P 미리보기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80호 / 74 ~ 105페이지
    · 저자명 : 이부현

    초록

    본고는 우에다(上田閑照)의 논문인 “神の子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우에다는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가 삼위일체적인 그리스도교 신관과 플로티노스의 일자(一者)로서의 신관 등 두 개의 신관을 모순 없이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에크하르트의 삼위일체적 신관에 신의 아들의 탄생을, 돌파에 일자의 신관을 각각 대입시켜,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의 핵심 경험을 버리고 떠나 있음 ⇒ 신의 아들의 탄생(수동적 과정) ⇒ 돌파(능동적 과정) ⇒ 단순한 하나에도달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고는 에크하르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그의 신비주의의 핵심개념인 ‘버리고 떠나 있음’, ‘돌파’,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아들의 탄생’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영원성이라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사건 또는 다른관점으로부터 말해지는 동일한 사건 또는 서로 전제하여 생기(生起)하는 상호의존적 사건을 지칭하는 개념이지, 완전성에 이르는 단계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미 다루어진 “우에다의 탄생과 돌파에 대한 기본 개념과1부의 결론”(이 논문은 2부에 해당함), “영혼의 근저”, “영혼 근저에서 생기하는 신의 탄생 사건: 내재적 삼위일체론” 등을 기본 뼈대로 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는 우에다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 쓰였지만, 다른한편으로는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적 경험을 해석하기 위한 올바른 지평확보를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최종 결론은 우에다가 선불교의 공(空)을 염두에 두고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를 해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는 점과 에크하르트는 철저하게그리스도교적이라는 점이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의를 영원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그는 플로티노스(Plotinos), 플로클로스, 위-디오니시오(Pseudo-Dionysius)의 전통 위에서 그렇게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lanned to indicate the problems of Ueda’s paper “神の子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The Birth of God’s Son and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He argued that M. Eckhart has the double perspectives of God, that is,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and at the same times,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in an uncontradictable way. Ueda allot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to the Birth of God and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to Break-through respectively. Therefore he interprets the mystical essential experience of M. Eckart as the process; Detachment⇒ Birth of God’s Son(passive process)⇒Break-through(active process)⇒ Simple One.
    In the contrary,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at M. Eckhart’s mystical essential concepts, that is, Detachment,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 in the Ground of the Soul are not concepts to denote the procedural events to perfection, but inseparable concepts to denote the events which happen in the Eternal Region, or the same events describ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r events that work interdependently.
    Therefore,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① Ueda’s fundamentlal concepts on the Birth & Break-through and the conclusion in my published paper(a collaborator Hiroshi Goto) “‘突破’と ‘神の 子の 誕生’に關する一考察”(Essay on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1st part of this paper) ② the Ground of the Soul ③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This paper is for the purpose of, on the one hand, indicating the problems of Ueda’s insistence, on the other hand, securing the right interpretational horizon of M. Eckhart’s texts. The final conclusion is as follows;① Ueda is supposed to interpret M. Eckhart’s Texts with Sunya(空) of Zen-Buddhism. ② In spite of this, M. Eckhart is fundamentally Christian. He interprets christian fundamental dogma from the viewpoint of Eternity. He does so with traditions of Plotin, Proclos, Pseudo- Dionysi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