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연구활동종사자의 식생활실태, 비타민 D 영양상태 및 혈액 임상지표 분석 (Dietary Life,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of University Laboratory Worker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9.06
12P 미리보기
대학 연구활동종사자의 식생활실태, 비타민 D 영양상태 및 혈액 임상지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4권 / 3호 / 245 ~ 256페이지
    · 저자명 : 황정현, 이홍미, 김정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건강검진, 설문조사, 식사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식생활 습관으로 인한 연구활동종사자들의 건강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활동종사기간에 따라 1 년 미만 군과 1년 이상 군으로 대상 집단을 나누었다. 주로실험실에 근무하는 연구활동종사자의 비타민 D 영양상태를조사하고 아울러 혈청 비타민 D 수준과 체조성, 신체활동, 영양섭취량 및 혈액 임상지표와의 상관성도 분석하였다.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 23.2세의 여성 연구활동종사자로 평균 신장과 체중은 161.2 cm, 56.0 kg이었으며, 평균 BMI는 21.5 kg/m2 이었다. 대부분의 연구활동종사자는 보통수준 이상의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계측 결과 연구활동종사기간이 1년 미만 군에 비해 1년 이상 군에서 평균 허리둘레-엉덩이둘레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2) 연구활동종사자의 해가 떠 있는 동안 하루 평균 실외활동 시간은 67분으로 연구활동종사 1년 미만 군이 1년 이상 군보다 약 25분정도 많았다. 전체 연구활동종사자는 하루 평균 9시간을 앉아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활동종사기간 1년 이상 군이 1년 미만 군보다 유의적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많았다.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결과 연구활동 1년 이상 군에서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량이유의적으로 많았다. 전체 평균 에너지 영양소의 섭취 비율은53.9:14.6:31.4로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낮고 지방 섭취 비율이 높았다. 전체 연구활동종사자의 비타민 D 평균 섭취량은 충분섭취량의 30% 이하로 부족하였다. 인의 섭취 비율이 칼슘의 두 배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나트륨 섭취량은 목표섭취량의 2.08배 섭취하였다. 대부분의 연구활동종사자가 주로 아침식사를 거르며 식사시간이 불규칙하였다. 연구활동 1년 이상 군은 단 간식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활동종사자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 평균은 혈중 비타민 D 수치를 제외하고 모두 정상 수준이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혈중 비타민 D 수치는 10.0 ng/mL로 WHO (2003) 기준 비타민 D 결핍 수준에 근접하였다.
    5) 혈청 25-(OH)-D 농도는 일조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에 비해 식이 비타민 D 섭취는 혈청 25-(OH)-D 농도와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25-(OH)-D 농도와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내장지방이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유리티록신과 혈청 25-(OH)-D 농도 사이의 양의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적절한 체내 비타민 D 수준 유지를 위해서는 자외선 조사로부터 피부를 통한 비타민 D 합성이 우선적이며 대부분의 활동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연구활동종사자는 비타민 D 결핍 위험이 높은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활동종사자가 적정 수준의 체내 비타민 D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조량과 식이 비타민 D 섭취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고, 아울러 연구활동종사자는 질병 예방 및 건강한삶을 영위하기 위해 규칙적이고 균형적인 식생활습관 실천이 중요하다.

    영어초록

    yea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se research workers. This study determined the health status of laboratory workers by analyzing their anthropometric indices, dietary life,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0 female laboratory work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diet, anthropometric indices, vitamin D status and blood clinical indic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duration of working in a laboratory (<1 year, 1 year).
    Results: The average age and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ere 23.18 years and 21.51 kg/m2, respectively Those subjects with over 1 year employment ( 1 year) had a significantly higher waist-hip ratio than that of the subjects with the less than 1 year employment (<1 year). The mean serum vitamin D level of all the subjects was 10.04 ng/mL, which is close to a level of vitamin D deficienc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intake of calories in the over 1 year employment group as compared to that of the less than 1 year employment group. The frequency of eating sweet snack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over 1 year employment group.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25-(OH)-vitamin D level and the time of exposure to sunlight, while dietary intake of vitamin D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the serum 25-(OH)-vitamin D level. However, the serum 25-(OH)- vitamin D level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visceral fat.
    Conclusions: Laboratory workers are a very high risk group in terms of their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D. Therefore, they need greater time of exposure to sunlight as well as increasing their dietary consumption of vitamin 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laboratory worker to practice regular and balanced dietary habits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