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체중아 및 비만아의 체중조절 경험, 식습관, 운동습관 및 자아존중감 비교 (Comparision of Weight Control Behavior and Self-esteem between Healthy Weight and Odese Childre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6.10
13P 미리보기
건강체중아 및 비만아의 체중조절 경험, 식습관, 운동습관 및 자아존중감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1권 / 5호 / 562 ~ 574페이지
    · 저자명 : 백설향, 여정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체중상태에 따른 아동들의 체중조절 경험, 식습관 및 운동습관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파악하고자, 초등학생들 중 건강체중자 120명, 비만아55명 등 총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비만아들은 평균적으로 경도 비만에속하며, 신장 및 연령이 건강체중아에 비해 유의하게 작으며, 체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비만아들의 약 44%, 그리고 건강체중군의 61.4%가 스스로의 체중에 대한 인식이 올바르지 않거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비만유무와관련없이 이들에게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비만아들이 건강체중아들에 비해 유의하게 자주 체중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비만군일수록 체중조절 경험이 유의하게 많았으나, 그러한 다이어트가 체중감량에대해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건강체중군의 56.9%, 비만군의 38.9%에 불과하였으며, 다이어트를 시도한 기간도 전체 대상자들의 79.5%가 1주 미만에 불과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건대, 비만아들의 체중 조절에 대한 관심은체중측정과 다이어트 시도로 나타나지만, 그 효과나 지속성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아침 결식빈도, 식사 속도, 매 끼니별 식사량, 일일 식사회수, 식사시간의 규칙성, 텔레비전 시청시의 간식, 그리고 신체활동 선호도 등에서 체중 상태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비만아들은 건강체중아에 비해 유의하게 일일간식 회수가 유의하게 적고, 저녁식사 후 간식 빈도도 적은 반면, 주당 신체활동 및 운동 빈도, 그리고 1회 운동 기간 등은 유의하게 더 많다고 응답함을 미루어 볼 때, 이들은 바람직한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활용하여 체중 감량을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건강체중군과 비만군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 평균은 차이가 없으나, 단지‘우리 가족은 나를잘 이해해 준다’라는 항목에 대해 비만군이 건강체중군에비해‘그렇지 않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반면에‘우리 가족들은 가끔씩 나를 미워하는 것 같다’라는 설문에 대해서는 건강체중군이 비만군에 비해‘그렇다’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비만 유무와 관계없이, 어린이들에게 스스로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체중 조절 방법을습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덧붙여 가족을 대상으로 자녀에 대한 이해심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이나 상담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어린이들의 자아존중감이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추후 연구를 통해, 비만아들의 체중조절 시도전의 생활습관 및 체중조절 시도 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study compared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related behaviors and self-esteem between healthy weight and obese children by presenting 175 primary school students in Busan City and Gyeongsang province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5 items, weighted primarily by a Likert scale. The self-esteem inventory presented to the students comprised 25 “Yes” or “No” response questions to different statements. The study found obes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think they always had to control their weight (p = 0.000), reportedly measuring their weight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healthy weight children. Also the study found that obese children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healthy weight children to go on a diet, however neither group were successful in losing weight as the duration of the diet in 79.5% of the total sample lasted no longer than one week. In comparison to healthy weight children, obese children reported that they consumed fewer snacks during the day, avoided snacking subsequent to an evening meal and exercised more frequently for as long as physically possible. Interestingly, we found no difference of reported self-esteem between groups, though the obese group were more likely to answer that their parents did not understand them (p = 0.055).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the obes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more aware of their body weights than the healthy weights children. It may be necessary to investigate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articipants’ weights while considering other variables such as personality and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5) : 562 ~ 574, 200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