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산시 일부 여대생의 신체적 특성과 식생활 관련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hropometry and Healh-Related Lifestyle Habits of Women College Students in Kunsa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3.08
12P 미리보기
군산시 일부 여대생의 신체적 특성과 식생활 관련습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8권 / 4호 / 526 ~ 537페이지
    · 저자명 : 장혜순, 김미라

    초록

    군산대학교에 재학하는 여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체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비만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 조사에 의하여 일반적 특성, 체중에 대한 자가인식, 만족도, 체중조절과 관련된 변인, 비만관련 식행동과 영양지식을 조사하여 비만과 이들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현재 거주지는 자택이 가장 많았고, 생활정도는 보통이 대부분이었으며,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생각은 비만군의 36.8%는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고, 42.1% 는 좋지 않은 편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건강에 대한 생각이양극화되어 있었다. 일상생활의 만족도는 불만족한 경우가 비만군이 15.8%로 가장 높았다. 운동시간은 비만군이 저체중군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정도(p < 0.05),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생각(p < 0.01), 운동시간(p < 0.05)과 체질량지수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자신의 주된 스트레스 원인은‘학업성적’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비만군은‘외모’, 저체중군은‘동성 친구관계’이었다.
    2) BMI에 의한 비만도 판정 결과 저체중군은 17.1%, 정상체중군은 75.3%, 비만군은 7.6%로 나타났으며 이는RBW에 의한 비만 판정의 비만군 19.5% 보다 낮게 나타났다.
    3) 연령, 신장의 평균치는 각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상대체중, 체질량지수, AMC의 평균치는 비만군이 가장 높았고,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4) 자신의 체중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하지 못하였고 저체중 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p < 0.001). 체중조절에 대하여 비만군 94.7%, 정상체중군 86.8%, 저체중군 60.5% 가 체중조절을 원하고 있어(p < 0.01) 잘못된 체위 판단에의한 체중조절은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생각되어올바른 비만판정에 따른 체중조절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체중 조절 이유는‘아름다운 체형을 위해서’,‘건강을 위해서’ 순 이었다(p < 0.001).
    5) 외식빈도는 1일 1회가 가장 높았으며, 좋아하는 외식 메뉴는 비만군은 백반을, 정상체중군은 일품요리를 선호하였다. 간식빈도도 1일 1회가 가장 높으며, 좋아하는 간식은 스낵류, 과일, 음료수 순 이었으나 과일에 대한 기호도가 비만군이 저체중군 보다 낮았다. 외식과 간식빈도는비만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결식율은 하루 한 끼를 거르는 경우가 저체중군 69.8%, 비만군 63.2%, 정상체중군 54.5% 순으로 높은 편이었고, 식사를 거르지 않는 경우는 정상체중군 28.6%, 저체중군23.3%, 비만군 21.1%로 정상체중군이 저체중군이나 비만군 보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었다. 결식의 원인은저체중군은‘시간이 없어서’와‘늦잠을 자서’, 비만군은‘늦잠을 자서’와‘습관이 되어서’ 순 이었다.
    지난 2일 간의 식사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아침식사 결식율은 저체중군, 비만군, 정상체중군 순으로 결식율이 높았으며, 저녁식사의 결식율은 비만군에서 가장 높았다. 정상체중을 유지하는데는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는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7) 비만관련 식행동 점수와 영양지식 점수가 비만군이정상체중군과 저체중군 보다 높았다. 이로써 영양지식 점수와 식행동이 일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자 대학생들은 체지방율이 상당히 높으며, 자신의 체중에 대하여 불만족하고 체중조절 욕구가 많으나, 운동시간이 거의 없고 결식 횟수가 많은 점으로 미루어 자신의 체중조절 방법으로 결식을 선택하는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자발적인 식행동이 이루어지는 대학생들에게매 끼 식사의 규칙성이 정상적인 체지방율을 보유한 정상체중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강조시켜야 한다. 또한 자신의 체구성 성분에 따른 체지방 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위하여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영양지식과더불어 태도변화에 따른 실천행동으로 바꾸도록 하는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hropometry and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ur and lifestyle of women college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The subjects were 251 women college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Kunsan National University. The height, body weight, soft/lean mass, fat mass, percentage of body fat, and fat distribution were measured, and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were evaluated based on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ir body weight, soft/lean mass, fat mass, percentage of body fat, and fat distribu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subjects when compared to the underweight or normal weight subjects. Standard of living, self-recognition of health status and duration of exerci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BMIs. Self-satisfaction with body weight decreased as the BMI increased. Most subjects had poor habits such as skipping meals and lack of exercises. The overweight and the underweight groups skipped meals more frequently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dietary behaviour of the subjects with different BMIs.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on regular meals and intervention are required if women college students are to have normal weights and healthy lifestyl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526 ~ 537, 200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