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식이보충제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Dietary supplements Consumptionamong Children in Korea)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12
11P 미리보기
우리나라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식이보충제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6권 / 6호 / 740 ~ 750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김도희, 이윤나, 고은미, 장영애, 김초일, 장영수, 이혜영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전국에서 추출된 대표성 있는영유아, 어린이 및 청소년 표본에 대해 식이보충제 섭취실태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아동의 식이보충제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및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8 년 6월~2009년 5월까지 여름, 가을 및 봄에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각 계절별로 전국의 각기 다른 120개 조사구에서 총5,100여 가구의 만 19세 이하 아동 및 청소년이 참여하였다. 전체적인 가구 응답율은 61.7%였으며, 아동의 단순한복용 경험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비타민 /무기질 섭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준의 식이보충제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조사가 완료된 아동의 성별·연령층별 구성은 남자52.5%, 여자 47.5%, 0~6세 27.4%, 7~12세 33.9%, 13~19세 38.7%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응답 아동이 속한 가구의 월 소득은 200~400만원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주거 유형은 아파트가 약 45% 수준이었다. 조사 권역별로는 인구 분포 상 서울을 포함한 1권역의아동이 거의 반을 차지했다(49.8%).
    2. 우리나라 아동의 18.7%가 최근 한 달 동안 규칙적이고지속적으로 한 가지 이상의 식이보충제를 섭취하였으며 여자 아동에 비해 남자 아동의 섭취비율이 높았고(p < 0.05), 0~6세 연령층에서 가장 높고 연령층이 올라갈수록 낮았다(p < 0.001).
    3. 사회·경제학적 요인과 보충제 섭취 여부의 관계에서월 가구소득(p < 0.001), 주거 유형(p < 0.001), 행정구역(p < 0.001), 거주 지역(p < 0.001) 모두 섭취 여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월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아파트에 사는 경우에 식이보충제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거주하거나, 대도시에 거주하는 아동의 경우에 보충제 섭취비율이 높았다.
    4. 어머니의 특성과 자녀의 보충제 섭취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p < 0.001), 그리고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경우(p < 0.01)에 자녀의 보충제 섭취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관리직인 경우에는(24.8%) 전업 주부의 자녀(21.9%)보다도 식이보충제 섭취비율이 높았다(p < 0.001).
    5. 식이보충제 섭취 아동이 섭취하는 보충제 종류는 평균1.2가지였으며, 1가지를 섭취하는 경우가 섭취자의 82.2% 로 가장 많았다. 식이보충제 유형에 차이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섭취자가 78.2%로 가장 많았고, 식이보충제 유형별로사회·경제학적 요인의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월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을(p < 0.01), 그리고 월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기타 식품류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으며(p < 0.05), 아파트 거주 아동의 경우 건강기능식품 섭취 비율이 높고, 비타민·무기질제제의 섭취 비율은 낮았다(p < 0.05).
    6. 아동의 연령층별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에서, 성별 차이는 0~6세에서만 유의적이었고,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7~12 세 아동에서만 유의적이었다(p < 0.05). 또한 어머니의 직업 보유 여부(p < 0.05) 및 직업의 종류(p < 0.01)도7~12세 아동에서만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에서 우리나라 아동의 식이보충제 섭취에는 성, 연령, 가구 소득, 주거 유형, 거주 지역, 어머니의 직업 보유 여부및 직업의 종류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있었다. 그동안 어린이를 대상으로 식이보충제나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여러 가지 있었으나, 대부분 조사 규모나 조사 지역이 한정되고 대표성에 제약이 있었으며, 조사방법 및 식이보충제 섭취자에 대한 정의가 동일하지 않아 각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아동의 식이보충제 섭취행태에 대한 영향 요인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국내 최초로 대표성이 확보된 전국의 아동 및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각 개인의 식생활에 의미 있는 영향을미치는 식이보충제 섭취에 대하여 전반적인 실태와 영향요인을 파악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아동의 식이보충제 섭취와 관련된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마련과 평가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아동 및 청소년이 주로 섭취하는 식이보충제가 비타민·무기질 등을 보충하기 위한 영양보충용 건강기능식품이었으며, 제품을 2가지 이상 4가지까지 섭취하는경우가 18%에 달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들 식이보충제의영양성분 함량 DB 구축에 의해 아동의 실질적인 비타민/무기질 섭취량을 평가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최근의 국민건강영양 조사에 의하면 식생활에 기인하는 우리나라 아동의비타민/무기질 섭취 수준은 칼슘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균필요량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섭취량에 추가되는식이보충제의 기여 정도를 파악함으로서 비타민/무기질별상한섭취량을 상회하는 섭취 수준을 나타내는 아동의 존재여부와 규모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등의 관리 기준에 대한 검토 및 개정/보완의 필요성 등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아동을 위해 보다 철저한 식생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With a recent increase in dietary supplements (DS)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ildren’s DS consumption.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employing 3 representative samples of children for summer & fall of 2008 and spring of 2009 by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 of 120 survey sites per season based on the 2005 census population. Approximately 30 households from each survey site were screened for residing children of 0-19 years and about 1,700 households remained as eligible samples per season. Trained dietitians visited households to perform face-to-face interview to children and/or parents regarding DS consumption including health functional foods (HFF), vitamins/minerals (V/M) supplements and other food supplements during 1 month prior to interview. Out of 5,328 children responded, 18.7% reported DS consumption. Consumption rate was higher in boys (19.9% vs. 17.3% in girls, P < 0.05) and youngsters (22.8% compared to 15.0% in adolescents, P < 0.001). Children from higher income family (P < 0.001), those living in apartments (P < 0.001), those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P < 0.001), and those of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 (P < 0.001) were more likely to take DS. Also,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occup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DS consumption. The most popular DS was HFF (72.1%), which was consumed more in children of higher income family. It is revealed that socioeconomic factors affect children’s DS consumption significantly. Also it is necessary to estimate children’s V/M intake from DS and foods together especially because there are tolerable upper limits set for V/M for safety purposes. (Korean J Community Nutr 16(6) : 740~750, 201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