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 교육매체로서 식생활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개발 현황과 활용 (Current Status of Dietary Education Applications (App) as a Smart Education Materia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3.12
30P 미리보기
스마트 교육매체로서 식생활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개발 현황과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6권 / 4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원, 이은주

    초록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의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생애주기별로 식생활교육에 적합한 앱을 선별하여 소개함으로써,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포털사이트 및 스마트폰 앱 검색을 통해 추출한 국내외 식생활교육용 앱 3만 여건 중, 교육적 활용도가 있으며, 내용이 충실하고, 다운로드 수가 많은 국내 45건, 국외 44건 앱을 선별하여 생애주기(유아기, 아동기, 성인기)별, 식생활교육 영역(영양·건강, 식품위생·안전, 조리)별로 분류하여 앱의 세부 내용과 활용방안을 소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관련 영역을 검색한 결과, ‘건강·영양‘ 관련 앱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조리’, ‘식품안전·위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영양’ 관련 앱은 비록 성인 대상이 가장 많았으나 비교적 전 생애에 걸쳐 교육할 수 있는 앱이 개발되어 있었으며, 내용으로는 체중관리를 목표로 하는 것과 식품을 입력했을 때 영양성분을 보여주는 앱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식품안전·위생’ 관련 앱은 공익적인 성격상 정부기관이 개발한 앱들이 많아 불량식품을 알려주거나 잔류농약 및 식품이력을 알려주고, 유통기한을 관리할 수 있는 앱이 개발되어 있었다. 넷째, ‘조리’ 관련 앱은 유아나 아동 대상으로는 게임 방식의 앱이 많았으며, 성인을 대상은 대부분 음식의 레시피를 제공하고, 요리 관련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앱이 제공되고 있었다. 다섯째, 국외 식생활관련 스마트폰용 앱은 국내 앱과 그 내용이 유사하였으나 차별화 되는 점은 질병 관리나 식품 알레르기를 관리할 수 있는 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식품안전·위생’ 관련 앱이 국내에 비해 다양하였다. 여섯째, 총 89건의 앱 중 선행평가기준에 따라 총 17개의 우수 식생활교육용 앱을 선정할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 영양 및 건강, 식품위생 및 안전, 그리고 조리 관련 다양한 식생활교육용 앱이 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이 성인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노년기 등 생애주기별로 식생활교육 수요 및 필요성에 맞춘 앱 개발이 요구되었다. 개발된 앱은 지속적 관리 및 업데이트를 통해 관리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우수 앱을 비롯해 식생활교육용 앱들이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되어 앱을 활용한 스마트 식생활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app) for dietary education to be used as a smart education material. For this purpose, smart phone apps were retrieved from the internet portal sites and smart phone app stores. Over 30,000 apps on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retrieved; however, only 45 from domestic and 44 from foreign sites could be collected based on the fidelity of contents, educational feasibility and high number of downloads. These were classified by the stages of life span (infant, child, adult) and the categories of dietary education (nutrition and health, food hygiene and safety, cooking), and the details of the app contents were suggested for their effective utilization for dietary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number of apps on ‘nutrition and health’ was the highest and followed by those of ‘cooking’ and ‘food hygiene and safety’. Second, the main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apps on nutrition and health were the adults and mostly on weight management and nutrition composition information of foods. Third, the apps on food hygiene and safety were usually developed by 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their contents included diagnosis of adulterated food, food traceability, information on pesticide residue in produces, management of foods’ shelf life, etc.. Fourth, the apps on cooking included the ones of game type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mostly food recipes and community activities for adults. Fifth, foreign apps showed similar trends like domestic ones, but were differentiated by the high number of those on food allergy, disease management, and food hygiene and safety. Sixth, seventeen excellent apps could be suggested out of 89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 developed for dietary education.
    As above results, various smart phone apps are available currently; however, most of them were for adults, therefore, apps for infant, child, juvenile, and old genera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meet their dietary education needs. Consistent management and updates were required for the apps to be used as dietary education material. Along with the excellent dietary education apps suggested in this study, further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apps need to be made to facilitate the smart dieta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