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전통식 레스토랑에의 전통장식요소 적용현황 비교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in Restaurants of Korea and Chin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2.10
12P 미리보기
한·중 전통식 레스토랑에의 전통장식요소 적용현황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권 / 5호 / 34 ~ 45페이지
    · 저자명 : 팽스스, 신경주

    초록

    오늘날 레스토랑이란 단순히 식사를 하는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이 다른 문화와 전통적인 이미지를 즐기는 공간이 되었다. 더욱이 특정 국가의 음식을 서비스하는 레스토랑의 디자인 요소는 레스토랑의 분위기 형성을 도우므로 우리들은 거기에서 그 국가의 역사와 전통을 보게 된다. 레스토랑 전통장식요소의 추가적인 가치는 레스토랑의 분위기 형성의 주된 요소가 다양한 장식요소의 사용에 따라서 달라지는 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레스토랑 관련 연구들이 선호도 분석이나 음식에 대한 연구에 머물러서 전통성을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는 극히 일부에 머물고 있다. 전통식 레스토랑에서는 그 나라의 역사와 전통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국가적인 차별화를 꽤 하면서 여기에 전통장식요소를 적용하여 전통문화를 살리고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전통식 레스토랑에의 전통장식요소의 적용현황과 비율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 레스토랑에서의 전통장식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과 중국 레스토랑의 인테리어를 보면 전통장식요소의 비율이 높은 부분은 한국은 가구 부분, 중국은 장식문양 부분이었고, 낮은 부분은 한국은 건물외관, 중국은 가구 부분이었다. 재료부분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두 목재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한국은 바닥, 창/문, 가구 부분에서, 중국은 창/문과 벽 부분에서 목재를 많이 사용한 차이점이 있었다. 색채부분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두 자연의 나무에 유사한 갈색계열을 사용하였다. 중국은 자연 갈색 외에 난색인 붉은색, 주황색의 사용도 많았고, 심지어 무채색인 검은색, 회색과 한색인 파란색의 사용 비율도 높아서 한국보다 색채사용이 다양하였다.
    둘째, 한국과 중국 레스토랑의 장식요소 중 무형적 요소 부분을 보면 자연적 특성에서는 한국과 중국은 자연요소를 매우 중시하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한국은 자연친화적인 부분에서 자연을 더 중시하였고, 중국은 시(詩)와 같은 환상적인 자연요소를 더 중시하였다. 종교적 특성에서는 한국보다 중국이 실내외요소에서 풍수의 의미를 더욱 중시하였다. 역사적 특성에서는 한국은 레스토랑 자체의 역사보다 브랜드를 더 중시하였고, 중국은 브랜드도 중시하나 레스토랑 자체의 역사를 더 중시하였다. 문화적 특성에서는 한국 레스토랑은 한정식이라는 한국 반상차림 위주의 경우가 많았고, 중국 레스토랑은 지역의 음식문화를 중시한 지역음식 위주의 경우가 더 많았다.
    셋째, 한국과 중국 레스토랑의 장식요소 중 유형적 요소 부분을 보면 내부에서는 전통장식요소의 비율이 외부보다 높았다. 그러나 중국 레스토랑은 외부의 전통장식요소의 비율이 내부보다 높았다. 외부에서는 한국은 전통재료와 문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중국은 전통 구조 혹은 조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내부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두 전통문양, 재료, 조형, 구조 위주로 사용하였다. 전통장식요소를 많이 사용한 부분은 한국은 벽과 바닥 부분, 중국은 창과 문 부분이었고, 전통장식요소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한국은 천장 부분, 중국은 바닥 부분이었다.

    영어초록

    In these days, restaurants are not simply used as a physical space but used as a cultural space in which people can enjoy and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al images. Moreover, from the restaurants design elements which help to form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which serve food of specific country, we can see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at country. The additional value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which are the main factors forming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ous expressions used in the restaurant space. For this article, 12 restaurants, Norangjugory korean restaurant, Yongsusan korean restaurant, Best well-bing food restaurant, Awoolim, Mugunhwa, Ondal in Korea, and Songhelou, South Beauty, Xuxian restaurant & lounge, Beijing dadong roast duck restaurant, The horizon chinese restaurant, Dynasty jade garden in China, were selected for the field study. This study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especially, the application rate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The analyzed elements are nature, religious beliefs, history and culture for the intangible elements and facade, courtyard, trademark, ground, wall, ceiling, door, window, furniture and adornment for the tangible elements. After that, we analyzed the rates of the use of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and modern decorative elements. Through the survey result and ratio analysis, we concluded as below.
    In Korean restaurant, traditionality is expressed in furnitures while, in Chinese restaurant, traditionality is expressed in decorative pattern. When it comes to the intangible elements among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of the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Chinese and Korean restaurants have similarities in emphasizing the natural elements. Korean restaurants focus much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arts, while Chinese restaurants focus much on the fantastic natural atmospheres like those shown and expressed in the poems. As for religion characteristics, Chinese restaurants emphasize "geomancy" more than Korean restaurant. When it comes to the visible elements among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of the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in Korean restaurants, the interior part has more traditionality than exterior part, while in Chinese restaurants, the exterior part has more traditionality than the interior p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