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휘찬여사> 「열전」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 (Hong Yeoha’s Perception of History as viewed from the Biography of the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4.04
31P 미리보기
&lt;휘찬여사&gt; 「열전」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1호 / 148 ~ 178페이지
    · 저자명 : 박인호

    초록

    <휘찬여사>는 1639년 완성된 것으로 행장에서 적고 있으나 20여 년의 온축을 거친 사서이다. <고려사> 「열전」의 차례와 비교하면 공주, 열녀 등 항목이 생략되고 대신 유학전, 탁행전, 행인전, 문원전 등이 들어갔다. 성리학의 원류 인물과 유학의 행실, 학문, 문장에 대해 증대된 관심이 반영되었다. <고려사>와 비교하여 분량이 1/3에 불과하지만 「열전」의 경우에는 크게 줄이지 않았다. 『휘찬여사』에서는 고려말 절의를 지킨 인물들을 현창하는 데서 보이듯이 왕조에 충성을 하는 것을 도덕적인 이상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유학이나 문원의 설정에서 보이듯이 유학자나 문장가들에게 대해서는 높이 평가를 하고 있다. 그리하여 무인집권기 권세에 기대거나 실절하였던 인물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가하는 한편, 고려말 왕조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문신과 유학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인물의 활동에 대해서는 왕권의 강조, 왕의 신하를 함부로 죽인 것에 대한 비판, 신하의 간쟁 중시, 3년상 등 유학적 질서의 준행 강조, 불교에 대한 배척, 대의를 중심한 평가, 실절한 인물에 대한 비판, 척화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등이 이루어졌다. 『고려사』와 비교하여 더욱 강화된 도덕적 잣대를 대고 있다. 홍여하는 조선전기 <고려사>에서 미숙하게 적용되었던 춘추의 의례를 우리나라 역사에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고려사를 새로이 보려고 하였다. <휘찬여사> 「열전」은 조선 초기보다 엄격한 유교적 도덕률이 적용되었던 17세기 사상계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biography of Hong Yeoha states that the compilation of the <Hwichanyeosa (彙纂麗史)> was completed in 1639. However, it took about 20 years to compile this book. A comparison with the Biography (Yeoljeon) of the <Goryeosa (高麗史)> reveals that while Hong Yeoha’s book included sections dealing with Confucian scholars such the Yuhakjeon, Takhaengjeon, Hanginjeon and Munwonjeon, it did not include sections on Gongju (Princess) and Yeolnyeo (virtuous woman). This reflected the spread of Neo-Confucian ideology and the growing interest in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ism during the 17th century. Each entry of the Biography section included the principles of description at the beginning. The number of volumes in this book only amount to one-third of the volumes found in the <Goryeosa>. However, this number was rather significant when the comparison is limited to the Biography section. One central element of this book was th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s of historical figures from those found in the <Goryeosa>. While Hong Yeoha criticized those who clung to power, worshipped Buddhism, and did not maintain their integrity, he positively evaluated those who displayed integrity, morality, loyalty and Confucianism; a denouement that shows the strengthening of Neo-Confucianism based moral standards. Hong introduced Kim Bodang, who had revolted against the military regime of Goryeo, as an example to be followed; meanwhile, he criticized those who had flattered the military regime. Hong restored some of the individuals who had been identified as the disloyal subjects in the <Goryeosa> to the status of loyal subjects in the Biography of Famous Subjects. He also positively described figures that had opposed the formation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Jeong Mongju, Yi Saek and Gil Jae from the standpoint of integrity. In terms of the activities of people, Hong evaluated people based on criteria such as the emphasis placed on royal authority, criticism of the killing of royal subjects, advice from royal subjects, compliance with Confucian order such as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the exclusion of Buddhism, righteousness-based evaluations, criticism of those who did not maintain integrity, and affirmative attitudes toward Rejection for the other races.
    Hong Yeoha intended to view the history of Goryeo from the standpoint of righteousness by introducing the rites of <Spring and Autumn> to Korean history. In the description of history, Hong’s criticism involved the differentiating of the methods used to describe characters. He applied more rigid moral standards in his Biography than was the case in the Biography section of the <Goryeosa>. As such, the Biography of the <Hwichanyeosa> reflected the trend of thought during the 17th century, which featured more rigid Confucian morality than early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