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에 의한 진해신도시계획의 식민성 고찰 (A Study on Coloniality of Jinhae's New Town Planning by Japanese Imperial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12
30P 미리보기
일제에 의한 진해신도시계획의 식민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28권 / 181 ~ 210페이지
    · 저자명 : 허정도

    초록

    본 논문은 진해라는 구체적인 공간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본해군의 군항과 일본인만을 위한 신도시로 조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일본이 진해를 군항으로 삼은 이유는 대마도를 중심으로 남쪽의 좌세보(佐世保)와 북쪽의 진해에 군항을 두어 대한해협을 장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바다를 제패할 수 있다는 전략 때문이었다.
    진해는 식민지 시대 여느 도시처럼 기존 시가지에 일본인이 들어온 것이 아니다. 아름다운 해안·비옥한 농토와 더불어 평화롭게 살던 마을주민들을 강제로 내쫓고 그들의 군사적 필요에 따라 군항과 배후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출발한 도시다. 그 과정에서 한국은 이미 자신들의 식민지가 되어가는 혹은 되어버린 땅이었기 때문에 법과 절차에 대해 개의치 않았다. 국운이 꺼져가고 있던 대한제국 말기에 이 작은 도시에서 일어난 강제와 수탈의 역사는 한국근대도시사의 모순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 4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진해군항과 신도시 건설은 일제의 강제수탈이 철저히 관철된 전형적인 식민지정책사업이었다. 주민들의 저항이 없지는 않았지만 역부족이었다.
    둘째, 일본 군부는 진해군항의 전략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한국인들이 선박건조기술을 전수받지 못하도록 수리수준의 공창으로 격하시켰다. 이런 점에서 ‘최고, 최대’로만 알려져 있는 진해군항의 위상에 대해 사실적인 평가가 있어야 한다.
    셋째, 신도시의 계획은 노거수 팽나무를 도시의 중심공간인 중원광장 한복판에 배치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팽나무는 신도시건설 이전의 전통마을과 신도시건설 이후의 일본인도시를 두루 아우른 상징수가 되었다. 역사적으로나 생태적으로나 팽나무 재식(再植)을 고려해볼 일이다.
    넷째, 그 동안 진해도시연구는 신도시에 집중되었고 한국인들이 격리되었던 ‘경화동’은 관심 밖이었다. 진해도시공간의 한축을 담당했던 ‘경화동’에 대한 도시사회사적 연구가 필요하다.
    100년 전의 일이지만, 진해신도시건설과정은 토지에서 소외된 사회적 약자가 여전히 존재하는 우리사회를 반추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문제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in the specific area of Jinhae city and how it has been composed to form a new town for the Japanese Navy and only the Japanese. It also discusses what happened during the process.
    The reason why Japan chose Jinhae as a naval base was that they wanted to deploy a base in Southern Sasebo (佐世保) and northern Jinhae around Tsushima in order to secure the command of the Straits of Korea. Furthermore there was a strategy to dominate the Sea of Eastern Asia based on this.
    Jinhae is not like any other colonial cities that the Japanese moved into an existing urban area. It became a city to the end that the naval port and new town were constructed as their military force needed it after expelling residents who had peacefully lived there, with its beautiful coast and fertile land. Japan did not give the matter any earnest regard in terms of the law and procedure in the process of new town construction, because the land had already progressed their colony. The history of coercion and pillage in the small cit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when the prestige of country was on the decline illustrates the contradic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cities in Korea.
    The following four findings were confirmed from this study.
    First, the construction of a new town and naval base in Jinhae was a typical colonial policy project, which is thoroughly reflected as compulsory plunder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lthough there was a stubborn resistance from residents, it was inadequate to interrupt brutality.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highly valued the naval base in Jinhae for its optimal conditions for manufacture and repair, the naval dockyard was only used for repair due to Koreans not being initiated in the ship construction.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a more actual and exact re-evaluation of the status of the naval base in Jinhae, which is only known as ‘the best and the biggest’.
    Third, the plan of the new town began with an arrangement of the old gigantic Nettle Tree in the middle of Joongwon Square, which is the core space of the city. As a result it became a symbol of the traditional town and the Japanese city,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town. It should be considered replanting(再植) the Nettle Tree both historically and ecologically.
    Fourth, in the meantime, city research about Jinhae has been focused on the new town and has not been concerned with ‘Gyeounghwa Dong’ as an isolated area for Koreans. The urban social historic research is required for ‘Gyeounghwa Dong’ which was in charge of an important role for the urban space in Jinhae.
    Even though it happened 100 years ago, it is still a current issue as it could be ruminated on our society where the excluded social weak group from their land still exist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new town of Jinh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