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橫穴式石室의 登場과 擴散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Establishment of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5.03
37P 미리보기
百濟 橫穴式石室의 登場과 擴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27권 / 127호 / 249 ~ 285페이지
    · 저자명 : 복문강

    초록

    백제 횡혈식석실의 기원은 단일 기원으로 그 다양성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고에서는 다중 기원의 관점으로 백제 횡혈식석실의 등장과 정착 그리고 확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백제 횡혈식석실은 석촌동 4호 적석총의 매장주체부 축조를 기점으로 처음 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석촌동 4호 적석총은 시기적으로 석촌동 3호 적석총과 큰 차이 없는 4세기 3/4분기 무렵 왕릉으로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사례가 고구려 통구지역의 적석총에 서 확인되는 만큼, 백제 횡혈식석실의 기원은 고구려 적석총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석촌 동 4호 적석총을 제외하고 석축 봉분과 매장주체부로 횡혈계 묘제가 결합된 사례가 백제 강역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은 백제 최초의 횡혈식석실이 특정 계층에 한정되었고 정착까지 이르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서북한 지역의 초기 횡혈식석실인 남정리 119호분과 서울 가락동 및 방이동고분군의 횡혈식석실은 축조 재료 및 구조적 측면에서 상당히 유사하여 양자 간의 연관성을 상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락동 및 방이동고분군과 석촌동 4호 적석총 간 축조 시점 및 구조적 차이점은 양자 간 직접적인 친연성이 미미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가락동 및 방이동고분군에서는 석촌동 4호 적 석총과 달리 다수의 석실이 축조되었고, 가락동 및 방이동고분군의 석실처럼 토축 봉분과 매장주 체부로 횡혈식석실을 지닌 분묘가 일반적인 백제 횡혈식석실로 자리한 점은 상기 고분군이 백제 횡혈식석실의 본격적인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밖에 석실의 본격적인 정착은 4세기 후엽 近肖古王 시기의 대방 고지 경영과 낙랑 및 대방 출신 이주민의 유입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하남 감일동 및 성남 판교동유적은 장제 및 구조적 측면에서 중국 동진 전실의 영향을 받은 사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서울 석촌동 또는 가락동 및 방이동고분군에 비해 축조시점이 늦고 동일한 장제와 묘제를 가진 사례가 희소한 점은 하남 감일동 및 성남 판교동유적의 석실이 백제 횡혈식석실의 기원 또는 정착과 거리가 멀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들 유적은 지리 적으로 백제 중앙지역과 인접하고 선행 묘제 또는 경제적 기반이 되는 생활유적이 없다는 점에서 토착계 집단이 아닌 당시 백제 중앙에 편입되어 대중국 교섭에 활용된 낙랑 또는 대방 고지 출신 집단을 위한 묘역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xplaining the diversity of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through a single-origin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these tombs from a multi-origin perspective.
    First,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are believed to have first appear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urial chamber in Seokchon-dong Tomb No. 4. This tomb is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as a royal tomb around the third quarter of the 4th century, contemporaneously with Seokchon-dong Tomb No. 3. Similar examples found in the stone- piled tombs of the Goguryeo Tonggu region suggest that the origin of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can be traced to Goguryeo stone-piled tombs. However, the absence of other examples combining stone-piled mounds and corridor stone chambers within Baekje territory implies that the first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were limited to specific elite groups and did not achieve widespread adoption.
    Next, the early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of northwestern Korea, such as Namjeong-ri Tomb No. 119, exhibit significant structural and material similarities to the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in the Garak-dong and Bangi-dong burial clusters in Seoul. These similarities suggest a potenti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However, differences in construction timing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Garak-dong, Bangi-dong burial clusters, and Seokchon- dong Tomb No. 4 imply a minimal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m. Nevertheless, unlike Seokchon-dong Tomb No. 4, the Garak-dong and Bangi-dong burial clusters contain multiple stone chamber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se clusters, such as earth-covered mounds and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became standard features of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indicating that these burial clust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broader dissemination of this tomb type. This diffusion process is thought to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governance of The former territory of Daebang during the late 4th century under King Geunchogo and the migration of people from Nakrang and Daebang.
    Finally, the burial sites of Gamildong in Hanam and Pangyo in Seongnam exhibit elements of Dong-Jin Dynasty(東晉) burial chambers in terms of both mortuary practices and structural features. However, these sites were constructed later than those in Seokchon-dong, Garak- dong, and Bangi-dong, and similar examples within the same mortuary and structural framework are scarce. This suggests that corridor stone chambers at Gamildong and Pangyo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 or diffusion of Baekje’s corridor stone chamber tombs. Instead, their proximity to Baekje’s central region and the absence of preceding burial traditions or economic base-related residential sites indicate that these tombs were burial grounds for groups from Nakrang or Daebang incorporated into Baekje's central administration and used for diplomatic relations with Dong-Jin Dynasty(東晉).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