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Curriculum Reforms Based on the Balance and Integration of Top-down and Bottom-up Decision-maki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9
20P 미리보기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33권 / 3호 / 179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두정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계획으로 보든 학생의 경험으로 보든 교육과정을 그것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정의 한다. 그래서 의사결정으로서의 교육과정을 하향식과 상향식으로 나눈다. 그런데 본 연구는 현재의 하향식 혹 은 상향식 교육과정 개혁은 둘 다 성공적이지 못하여 양자 간의 균형과 통합을 시도하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 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의 문제 영역은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전문학 습공동체, 그리고 연구의 시사점 등이다.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하향식과 상향식 교육과정 개혁의 문제점으로 교육과정 관련 기관―교육부, 교육청, 학교 등―간의 위계적·독립적 책무, 협력 관계의 절차나 기 준 부재,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피드백과 지원 미흡, 자율화의 불비로 하향식 접근으로의 회귀 등이 지적된다. 대안적 접근은 교육부, 교육청, 학교 삼자 간 끊임없는 상호 작용을 전제한 경계선 없는 연결 (permeable connectivity)의 원리로 함께 학교를 전문학습공동체로 만드는 일이다. 전문학습공동체로서의 학 교는 학생의 학습과 학교 간 연대를 중시한다. 전문학습공동체로서의 학교의 목표는 구성원 교사 간 협력은 물론이고 교육청, 교육부 모두 함께 협력하여 역량을 구축하는 데 있다. 최근의 우리나라의 혁신학교는 이상 적이지는 않지만 취지로 보아 전문학습공동체로 바뀌는 학교의 사례가 될 수 있다. 교사를 주축으로 스스로 학교의 전문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하며 교육청도 예산, 인력 등에서 그 공동체를 지원한다. 본 연구의 논의는 전문학습공동체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위한 교육부, 교육청, 학교 간 협력 체제의 규정화, 학생에 초점 을 둔 교육부, 교육청, 학교 등의 동일한 교육 목적관, 학교장의 협력적 지도성, 개혁의 잘못된 명료성 등의 견지에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재의 하향식 교육과정 개혁에서의 점진적 변화, 전문 학습공동체 구축에 기여하는 국가 교육과정 규정 포함, 학교장과 교육감의 더 비중 있는 역할 등의 견지에서 제시된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approach to current top-down and bottom-up curriculum reforms, neither of which has been regarded as successful. “Curriculum” could be defined as decision-making related to teaching-learning plan and its implementation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1) what are the major problems that drove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approach? 2) what is that alternative approach? and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main problems that necessitated the alternative approach were: 1) the hierarchical and separate accountabilities among th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2) the absence of cooperative relational procedures among th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3) insufficient feedback and support regarding the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and 4) the return to the top-down approach instead of the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was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The alternative approach to improving the main problems raised by current curriculum reforms might be called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LC),” where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are linked with continuous interactions on the principle of permeable connectivity (Fullan, 2007: 262). As PLCs, the schools are focused both on students’ learning and the linkage of schools within each district. They aim to build the capacities of their own schools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local school districts, and government. The capacity building by schools is more important than their accountability. Discussions were made in terms of: 1) making clear relational procedures for permeable connectivity by mandates, regulations, or laws among government, local school districts, and schools, 2) to establish the same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students, 3) to encourage cooperative leadership by school principals, and 4) to be alert to “false clarity” of reforms. Finally, some implications of the study will also b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