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야생동물 출몰에 대한 시민 인식 분석 (Comparison of Citizen Perception on Wildlife Appearance in Seoul)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5.02
11P 미리보기
서울시 야생동물 출몰에 대한 시민 인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영향평가 / 34권 / 1호 / 36 ~ 46페이지
    · 저자명 : 김선진, 손용훈, 조무빈, 전소진, 이주경, 장새연, 김다슬

    초록

    최근 도심 내 야생동물 출몰이 증가하면서 인간과 야생동물 간의 공존이 중요한 도시 생태계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블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야생동물 출몰에 대한 시민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서울시에서 시민들이 자주 언급한 야생동물은 멧돼지, 너구리, 고라니, 까마귀, 들개로 나타났다. 멧돼지 관련 게시글에서 부정적인 형용사가 다수 도출되었지만, 멧돼지로 인한사고와 관련된 명사는 도출되지 않았고, 고라니는 로드킬, 들개는 광견병 등 다른 종에서는 인간과의 사고 관련단어가 도출되었다. 너구리는 위생 문제 등 일부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친숙한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까마귀는 소음 문제로 인해 시민들에게 불편을 유발하지만, 직접적인 위협 요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 외곽에 있는 산과 관련된 단어와 멧돼지, 들개, 고라니가 주로 함께 언급되었으며, 너구리는 공원과 하천 등 도심 내부와 관련된 단어가 다수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출몰 위치와 위험도를 고려한 종별 맞춤형 관리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소셜 미디어 데이터가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접근의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대량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현장 기반 조사를 통합한다면 효과적인 야생동물 대응 및 보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wildlife in urban areas,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wildlife has emerged as a critical issue in urban ecosyste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c perceptions of wildlife occurrence in Seoul using blog data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ildlife species in Seoul were wild boars, raccoon dogs, water deer, crows, and stray dogs. While negative adjectives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wild boars, no nouns related to accidents involving them were found. In contrast, species-specific human-wildlife conflicts were identified, such as roadkill incidents for water deer and rabies concerns for stray dogs. Despite hygiene-related issues, raccoon dogs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familiar animals. Crows were mainly associated with noise problems, which caused discomfort among citizens, but they were not considered a direct threat. Wild boars, stray dogs, and water deer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suburban areas, whereas raccoon dogs were linked to parks and rivers within urban area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pecies-specific management policies based on occurrence locations and risk levels. It argues that social media data can serve as a crucial tool for policy approaches to foster urban ecosystems where humans and wildlife can coexist. Integrating large-scale social media data with field-based research could enabl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wildlif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