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윤숙의 시에 나타난 전쟁과 여성의식 (War and Feminism in Mo, Yun-Sook'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3.12
25P 미리보기
모윤숙의 시에 나타난 전쟁과 여성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0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송영순

    초록

    본 연구는 여성시인인 모윤숙의 시에서 전쟁을 소재로 한 시를 중심으로 식민지시대와 가부장제도하에서 여성의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모윤숙의 여성의식이 식민지 시대에 어떻게 성립되었는지 그 배경을 알아보고, 시적 화자의 담론에서 남성화자를통한 여성적 언어의 주체성을 고찰하고 전쟁을 소재로 한 시에서 모성의 이중성을 살펴 보았다.
    모윤숙의 여성의식은 식민지와 가부장제도에 저항하는 여성해방의식에서 출발한다. 신여성이었던 그는 조국의 현실을 인식하고 일찍이 사회일선에 참여하는 여성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그는 여성적 글쓰기로 남성화자를 선택하여 기존의 언어체계에서 여성적 글쓰기의 주체성을 시도하였고, 전쟁을 소재로 한 시에서 어머니의 이중적 이미지를 드러내었다. 그의 모성성은 식민지 시대에는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아내의 이미지에서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 때에는참전을 독려하는 어머니로 이중적 이미지를 드러내었다.
    이와 같이 모윤숙은 시적화자의 담론 구조를 통해 여성적 언어의 주체성을 나타냈다면 전쟁시에서는 역사적 변천과 함께 흔돈된 여성의식의 여정을 드러내었다. 결국 모윤숙의 여성의식에서한국적인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이 결합된 불완전한 여성의식의 주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women's identit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 period as well as under the feudalistic social system by collecting the thematic role "war" in the female poet M's world. In order to review M's feminism, we have observed her background of feministic approaches to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her feministic identity through the poetic narrator's discourse via male narrator's viewpoint and her dual "motherhood" the poems which concerns the Wars.
    M's feminism starts with the emancipation of women conflicting with the colonial situations and the feudalistic social system at that time. As a modern woman herself, M has established her identity engaged in the social issues after realizing Korea, the fatherland. She has tried to acquire the feministic identity by means of choosing a male narrator with a feministic literary style. And M has demonstrated the dual image of "mother" in her poems which concerns the Pacific War. Her "motherhood" represents a wife's image which wishes the independence of the fatherland during the imperialistic period. From then, M's "motherhood" changes her face as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in the battles during the Pacific War time and the Korean Civil War.
    Along these lines, while M has shown the feministic identity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oetic narrator's discourse she has also shown the passage of the confused feminism in the middle of historic vicissitude in her poems on Wars. In conclusion, we could find it incomplete the represented feministic identity in M's poems which is combined with Korean nationalism and feminism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