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위사실공표죄와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 해석의 문제점 - 조○○ 서울시교육감 항소심 판결을 중심으로 - (Issues with the Interpretation of Publication of False Facts and Defamation by Alleging False Fact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6
35P 미리보기
허위사실공표죄와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 해석의 문제점 - 조○○ 서울시교육감 항소심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6권 / 2호 / 85 ~ 119페이지
    · 저자명 : 정한중

    초록

    선거과정에서 후보자 상호간 의혹제기나 공적 인물에 대한 의혹 사실 제기에 대한 처벌은 공직적격자인가에 대한 검증 차원에서는 물론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그 허위성 판단이나 허위성에 대한 인식 판단에서 매우 신중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인 피고인에게 진실성을 사실상 입증하게 하는 것, 특히 개인에게 사실조사나 사실확인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사실상 무죄추정에 반한다.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나 형법의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서 허위성은 일본 형법과 달리 구성요건요소이다. 따라서 허위성이 입증이 되지 못하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나 형법상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여기서 허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진실할 가능성이 높지만 진실한 사실은 아니다. 이 경우, 공직선거법상 후보자비방죄나 형법상 진실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성립될 수 있는데, 진실한 사실이고, 공익성이 인정되면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보는 것이 우리 법의 구조이다.
    본 사안의 경우, 피고인이 ‘의혹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당시 소문만이 아니라 유력한 소명자료를 제출하였고, 존재 사실의 진실성에 대한 입증은 검사에게 있기 때문에 이를 검사가 탄핵하였지만 검사가 법관에게 의혹 존재사실이 허위라는 확신을 심어주는데 실패했기 때문에 허위는 아니거나 진실한 사실이라는 것이 항소심의 결론이고 타당하다그러나 항소심 판결이 기존의 우리 대법원 판결이 취한 허위사실의 인식에 대하여, 지정고의 뿐 아니라 미필적 고의를 포함하여 해석한 것은 부당하다.
    또 우리 대법원은 고의 판단의 기준으로 위법성인식의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상담과 조회의 하나인 사실확인의무를 부과하며, 위법성조각사유의 진실성 판단과 구성요건의 허위성판단을 동시에 함으로써 사실상 입증책임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이 위에서 본 일본 판례와 같이 위법성조각 판단에서 사용하는 정당한 이유를 가지고 결과적으로 고의를 판단하고 있는 것은 우리 입법과 다른 구조를 가진 일본 판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타당하지 않고 이점에서는 항소심 판결도 마찬가지로 비판받아야 한다.

    영어초록

    When holding a candidate criminally responsible for raising a suspicion against another candidate or a public figure in a the course of an election campaign, cau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lleged facts are false or whether the defendant was aware of the falsenes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freedom of speech and ensuring the effective verific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candidates. Then it would be a violation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principle to have an individual prove the veracity of his/her remarks, or imposing on an individual the obligation to investigate or confirm the facts.
    Unlike the Japanese criminal law, falseness is one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publication of false facts” punishable under the Korean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or “defamation by alleging false facts” under the Korean Criminal Act. This means that a prosecutor must prove the falseness of the facts put forward by the defendant in order to hold him/her responsible for the above crimes. Even if a prosecutor fails to prove that those facts are false,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true facts, although it is likely that they are. In this case, publication of such facts may constitute a slander against a candidate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or a defamation by alleging facts under the Criminal Act.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however, the illegality of such slander or defamation is precluded if the facts are true, and they are alleged for a purpose related with public interests.
    In the case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appellate court held that the defendant had presented a strong evidence as to the ‘existence of a suspicion,’ and it falls on the prosecutor to prove the veracity of the existence. Then, the court concluded that the prosecutor failed to convince the judges that the allegation of the existence of suspicion is false, and therefore the allegation is either true or not false. This researcher finds the appellate court’s conclusion reasonable.
    However, this researcher finds the appellate court’s judgment unreasonable in that it followed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and included both specific intent and wilful negligence as subjective elements that determine whether the defendant was aware of the falseness of the alleged facts.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a defendant intentionally committed any of the above crimes, the Supreme Court imposes on the defendant the obligation to confirm the facts, which is usually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efendant was aware of the illegality of his/her acts. The Court also merges the determination of the truthfulness of the alleged facts for the preclusion of illegality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falseness of the facts as an constitutive element of the crimes. This practically transfers the burden of proof to the defendant. Using an element that precludes illegality to determine the intent of a defendant in such a way is predicated on an uncritical reception of a Japanese precedent, rendered under a legal system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Korean legal system. The Supreme Court’s approach is not reasonable in this regard, and the appellate court case above should be criticized for unquestioningly adopting the higher court’s preced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