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향촌 체험 한시와 시가 향유 (A Study on Chinese Poetry and Korean Song experienced in Country Districts in 16th Century Chosu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10
34P 미리보기
조선 전기 향촌 체험 한시와 시가 향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16호 / 65 ~ 98페이지
    · 저자명 : 최재남

    초록

    이 논문은 향촌체험과 관련한 담론의 의미를 조선전기와 조선후기로 나누어 정리하고, 특히 16세기 향촌 담론이 지닌 의미를 정리하면서, 향촌 체험 한시의 실상과 시가 향유 양상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누었다. 향촌 체험의 성격에 따라 크게 나눈 두 부류는 은거와 유배 체험이 그 하나이고, 실천과 향촌 생활이 다른 하나인데, 앞의 경우는 金安國, 金正國, 金絿를 중심으로 점검하였고, 뒤의 경우는 李賢輔, 宋純, 權好文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부류에서, 김안국의 경우 향촌에서의 湖山閑適의 생활을 한시로 형상화하면서 아울러 서울에 있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달[月]을 매개로 한 우리말 노래인 <정과정>과 <강월곡>을 통해서 구체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래를 통한 내면의 투사에 매개항인 달[月]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은 시가사의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보았다. 시와 노래[歌]가 만나는 지점이 향촌 체험의 내면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김정국의 경우에는 한시를 통하여 생산주체인 농민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면서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있는데, 농민의 노래인 민요를 노래하는 가창 방식을 통하여 그 변모를 확인할 수 있다. 선후창인 ‘이영차[呼耶]’에서 호응창인 ‘이야응[呼應]’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것이 그것인데, 여기에서 우리는 강제적인 부역에서 벗어나 생산 주체인 농민이 공동노동을 통하여 삶을 윤택하게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김구의 남해 생활은 동시에 유배 체험이기도 한 것이어서, 유배 체험을 통하여 힘겨움을 직설적으로 토로하거나 술을 통하여 위안을 삼거나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경기체가 <화전별곡>은 표면적인 진술과 이면적인 지향 사이의 갈등을 읽어낼 수 있는 것이어서 체험의 간접화에 대한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둘째 부류에서, 이현보는 비록 오랜 기간 벼슬살이를 했지만 내면으로는 늘 향촌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실제로 귀전한 뒤에는 향촌 체험의 서정 미학을 확인할 수 있는 <생일가> 등의 작품을 보이고 있어서 주목할 수 있다. <어부가> 산정 등을 통하여 향촌 생활에서 현실 세계를 넘어서는 서정 공간을 확보한 내용도 중요하지만, <생일가>에서 실천적인 삶이 정서적 감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서, 체험 미학의 서정적 인식에 대한 이론적 범주를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다. 송순의 경우에는 향촌에서 지내면서 눈앞에 펼쳐지는 승경을 계기적 서술로 제시하고 있어서, <면앙정가>를 비롯한 가사 갈래가 이러한 계기적 서술과 어떠한 관련을 지니는지 해명할 수 있는 시각을 암시하기도 한다. 권호문은 서울의 체험이 없이 향촌에서만 지냈는데, 향촌에서의 삶을 ‘참된 즐거움[眞樂]’으로 인식하고 한시에서 구체적인 생활을 형상화하면서도, 이면적으로는 출처 사이의 갈등과 고뇌의 과정을 연시조인 <한거십팔곡>으로 압축해 놓았다.
    향촌 체험을 다룬 시와 노래[歌]를 통하여 자연에서 참된 즐거움을 추구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이론적 근거와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사물에 대한 인식의 태도를 확인하면서 시와 노래[歌]가 통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 핵심은 주관이나 감정이 개입된 나[我]를 배제할 때, 본연의 도와 나, 그리고 대상이 한데 어우러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외물에 접촉하여 서정적 인식인 흥취가 일어나고 이로 말미암아 미적 감동인 참된 즐거움[眞樂]을 누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Poetry and Song experienced in country districts in 16th century Chosun Dynasty.
    There are two groups such as the experience of country were born Seoul and country districts.
    The first group, for example Kim-anguk(김안국), Kim-Jungguk(김정국) and Kim-gu(김구) were born Seoul area and expelled their position because of Kimyo-Sahwa(己卯士禍).
    The second group, for example Lee-hyunbo(이현보), Song-sun(송순) and Kwon-homun(권호문) were born country districts and return to hometown after resigned from government service or stay in hometown their whole life.
    1-1. Kim-anguk, he enjoyed his rural life with learned men and yearned the king. His favorite songs in rural life were <Jeonggwajeong(정과정)> and <Kangwolgok(강월곡)> mediated moon.
    1-2. Kim-Jungguk, he watched the farmer with deep concern in poetry. And he was interested in Hoeung(呼應)folk song rather than Hoya(呼耶) folk song.
    1-3. Kim-gu, he revealed anger directly, and consoled through the medium of Alcoholic liquor in poetry. And he yearned government life in Seoul at <Hwajeonbyulgok(화전별곡)>.
    2-1. Lee-hyunbo, he was thirsty to return to hometown through his whole life, and put into practice reverence for parents. His <Saengilga(생일가)> is Erlebnislyric connected with his real lives.
    2-2. Song-sun, he recorded surrounding scenery into Kasa <Myunangjeongga(면앙정가)>. And the recognition of his government life and rural life is separate.
    2-3. Kwon-homun, he enjoyed his country life as real delights and put into <Hangeosibpalgok(한거십팔곡)>.
    In conclusion, we are able to summarize as following.
    A direction of lyric is connected with natural rural life. And the recognition of matters is connected with pleasure. So we are blessed with real del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