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영 시에 나타난 정의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justice in Kim, Soo-young'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4
29P 미리보기
김수영 시에 나타난 정의의 의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1권 / 1호 / 265 ~ 293페이지
    · 저자명 : 전병준

    초록

    본 논문은 폭력과 법과 정의의 모순 관계에 대해 논의한 발터 벤야민과 자크 데리다의 저작을 중요하게 참조하면서 4·19 시기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정의의 의미를 살폈다. 폭력과 법과 정의의 관계가 지니는 모순이 정치의 문제뿐 아니라 혁명과 정의의 문제를 사유할 수 있게 해주는 까닭에 김수영 시를 읽는 데 유효한 해석의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4·19를 전후한 시기에 쓰인 김수영의 시편들은 기존 지배 권력에 대한 탄핵과 새로운 가치에 대한 희망을 강력하게 보여주어 이러한 시편들에 대한 해석이 폭력과 법과 정의의 모순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조건적인 법과 무조건적인 정의라는 이분법적 논리는 정의를 초월적인 지평에 두는 논리인 까닭에, 법과 정의의 모순적인 관계를 제대로 사유할 수 없게 한다. 법 내부에 법이 행사하는 예외로서 폭력이 존재한다는 논리는 법의 근원으로서 정의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논리이다. 법과 정의의 모순적인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초월적인 지평을 상정하지 않으면서도 지금, 여기의 삶의 질서를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잠정적으로나마 법과 정의의 관계를 유효하게 사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재성과 초월성의 변증법을 제안하였거니와 이는 김수영의 시적 사유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시인으로서 김수영은 혁명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물었고,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정의가 무엇인가를 물었다. 그에 대한 답변이 쉽게 가능하지 않음에도 김수영은 그 물음을 강인하게 유지하며 이를 시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정의와 혁명이란, 그 이념적 형태에 대해서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지만 아직 현실적으로는 실현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이념에 대한 부드럽지만 강인한 신념이 마침내는 현실을 변화시킬 것이다.
    본 논문은 김수영의 시를 폭력과 법과 정의의 관점에서, 그리고 이 셋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정치와 혁명이라는 관점에서 살핌으로써 김수영 연구의 관점을 갱신하고 심화하고자 하였다. 물론 김수영의 시적 응답에 대한 해석은 이후의 시편들에 대한 접근을 통해 좀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정의에 대한 요구가 어떻게 시적으로 표현되는가, 그리고 그러한 시적 표현이 어떠한 실질적 응답을 얻게 되는가 하는 것은 역사와 타자에 대한 발견과 사랑에 이르는 이후의 시적 여정에 대한 해석이 추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이 제기한 관점을 충실히 심화하고 확대함으로써 보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justice in Kim Soo-young's poems during April 19th period, with important reference to the work of Walter Benjamin and Jacques Derrida, who discussed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mong violence, law and justice. This is because the contradic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m provides not only politics but also revolution and justice, so it helps provide an effective interpretation perspective for reading Kim's poems. Kim’s poems, written around the time of April 19th, strongly show impeachment for the existing ruling power and hope for new values, so the interpretation of these is a clue to overcome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mong violence, law and justice.
    Because the dichotomous logic of conditional law and unconditional justice is a logic that puts justice on a transcendental horizon, it makes it impossible to reason properly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justice. The logic that violence exists as an exception within the law is the logic that applies equally to justice as the source of the law. In order to properly grasp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justic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way to criticize the order of life here and now without assuming an external transcendental horizon. In this paper, it was proposed to combine the immanence and transcendence with a dialectical method in a way to effectively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justice, but this is based on Kim's poetic thought.
    As a poet, Kim asked how revolution is possible, and in a similar context, what justice is. Although it was not easy to answer, he tried to keep the question strong and express it as poetics. Justice and revolution are things that we already know about in the ideological form, but have not yet realized in reality. But a soft but strong belief in those ideologies will eventually change reality.
    This paper aims to renew and deepe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o Kim’s poems by examini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violence, law and justic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and revolution that can encompass the three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 interpretation of Kim's poetic response needs to be expanded through subsequent approaches to the latter part of his poems. How the demand for a new definition is expressed as poetry, and what practical response the poetic expression gets, is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poetic journey to history and discovery and love of others needs to be added. In this regard, we intend to deepen and expand the viewpoint raised by this paper through subsequen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