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준태의 시에 나타난 ‘통일 담론’ (The meaning of “unification” in Juntae Kim’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7
26P 미리보기
김준태의 시에 나타난 ‘통일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3호 / 511 ~ 536페이지
    · 저자명 : 이상숙

    초록

    김준태의 시에 드러난 통일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1969년 등단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시사에서 김준태 시인만큼 꾸준히 ‘통일’을 주제로 하여 창작에 임한 시인은 많지 않다. 여러 권의 시집과 산문, 평론에서도 ‘통일’을 가장 큰 주제로 삼은 김준태의 시를 통해 우리 시에 나타난 통일 인식과 통일론의 일단(一端)을 살펴볼 수 있다. 김준태는 초기시에서 민중의 현실과 언어를 통해 육체성을 활용한 남북의 결합을 표현했고 5.18 광주민중항쟁 이후에는 진보진영의 통일담론과 흐름을 같이하여 ‘민주주의’, ‘해방’, ‘공동체의 아름다움’으로 이어지는 통일인식을 보여주었다. 활달한 민중의 언어와 육체를 통해 남북의 결합을 보여주는 그의 통일인식은 5.18 광주 시편들에서부터 최근의 시에까지 일관되는 특징이다. 그러나 그의 통일시는 여전히 혈연, 육체, 형제애의 주제를 반복하며 ‘민족동일성’과 ‘당위적 통일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준태는 분단 체제의 부조리와 모순에 맞서 창작과 실천을 일치시킨 시인이며 그의 시가 세련되고 완결성 있는 활달한 시라는 것과는 별개로 민족 동일성과 당위적 통일론이라는 전형적 통일 담론을 반복하는 것은 반성적으로 살펴볼 부분이다. 분단, 탈분단, 평화와 공존으로서의 통일 등 ‘통일’이 새롭게 규정되는 오늘날 우리문학에는 이를 이해하고 통찰하는 시인의 혜안이 필요하다. 70년에 이르는 이격(離隔)의 시간과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인식 변화, 체제 우위에 의해 극명해진 경제적 차이, 경제력으로 서열화되는 남북 주민 등 통일을 마주한 현실의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민족이므로 당연히 그리고 무작정 하나로 합쳐지는 통일이 아닌 탈분단, 평화정착, 공존과 번영이라는 통일 프로세스의 변화를 성찰하고 고민하는 통일문학, 통일시가 제시되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 시사와 문학이 통일시의 시인 김준태에게 바라는 바도 같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unification” in Juntae Kim’s poems. Not many Korean poets have extensively dealt with unification as a recurring theme in their works. However, Juntae Kim has consistently written about this issue, from Soul Unification in 1986 to The Song of a Grandfather of Twins in 2018. Through an analysis of his poems, prose, and literary criticism, one can investigate the range of perceptions of unification in Korea. “Unification” in Kim’s works tends to mirror the context of issues at the time it was written. According to him, the national democratic discourse of the late 1980s led to the emergence of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to widespread debate, but the extent to which this trajectory in national politics was linked to the May 18 Gwangju Pro-democracy Uprising was limited. In additi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unification are so variable that they change depending on the political environment. The literary response to the politics surrounding unification has been weak. There have been many problematic approaches to unification in Korean society over the decades, including the romantic strand of thought that regards it as a necessary and emotional “wish”; the radical and simple idea that Korea’s partition is the basis of all social problems and contradictions, proposing unification as the ultimate solution; the instrumental approach that employs the project of unification as the logical basis for political parties to debate issues concerning nationality, democracy, and autonomy; the passive attitude towards unification, which arises from the instinct to avoid the plethora of concrete and complex issues involved in the project of unification; the selfish prioritization of only the economic effects that would be produced by combining capital and labor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the sympathetic attitude towards the North Korean people, which is based on a sense of the South’s economic superiority. This range of attitudes may be problematic, but it embodies how South Korea views the issues of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the strength of Juntae Kim’s work lies in how the complexity of unification, as well as its constantly changing meaning, is thermalized in his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