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시에 나타난 칼미크인 형상연구 (A study on shape of Kalmyk in Russian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11
22P 미리보기
러시아시에 나타난 칼미크인 형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40호 / 9 ~ 30페이지
    · 저자명 : 권기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의 작은 동양’ 으로 알려진 칼미크인들이 러시아의 시인들의 시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지 고찰 하는 것이다. 러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21개 공화국의 하나인 칼미크 공화국은 러시아 남서부 카스피해 북쪽 연안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유럽 유일의 불교국으로 동양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신비의 공화국’이라 불리고 있다.
    몽고인을 조상으로 두고 있는 칼미크는 ‘러시아의 동양’으로서 많은 러시아 작가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다. 특히 ‘러시아 남부’지역으로 편입된 칼미크의 광활한 대초원과 그 초원에서 유목생활을 영유하는 칼미크인들의 자연 친화적이고 야생적인 이미지는 다수의 시인들에 의해서 러시아 독자들에게 알려져 왔다. 특히 알렉산드르 푸시킨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ушкин, 바실리 주코프스키ВасилийАндреевич Жуковский, 세르게이 예세닌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сенин,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Велимир Хлевников 등의 시인들의 시에서 칼미크인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위에 언급된 시인들의 시에 나타나고 있는 칼미크인의 형상을 몇 가지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공존하는 칼미크인’ 형상이다. 발레미르 흘레브니코프와 푸시킨은 대초원의 광활한 자연, 그 속에서 방목되는 양, 말 등의 가축과 함께 살아가는 칼미크인을 광야의 자연묘사와 함께 자신들의 시에서 자연친화적인 존재로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야생미(野生美)와 야만성(野蠻性)을 동시에 소유한 형상이다. 푸시킨은 자신의 시에서 무뚝뚝하지만 동양적이고 야생적인 아름다움을 소유한 칼미크 여인의 모습을 노래하면서, 동시에 칼미크인을 강도의 한 무리를 구성하는 ‘폭력적인’ 악당의 형상으로 부정적으로도 형상화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야만성은 세르게이 예세닌의 시에서는 더 부정적인 형상인 ‘야수(野獸)’로도 묘사되고 있다.
    셋째, 러시아 영토내의 피지배인 칼미크인의 형상이다. 푸시킨과 주코프스키는 17세기 중엽 러시아 황제에게 충성 서약을 한 칼미크인들을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의 일부, 즉 ‘복속된 동양’의 ‘상징적 존재’로서 자신들의 시에서 형상화 하고 있다. 예세닌도 장시「푸가초프」의 2장「칼미크인들의 탈주」를 통해 물리적으로 탄압을 받는 피지배인, 그러한 억압으로부터의 죽음의 탈출을 감행하는 형상으로 칼미크인을 표현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work studies how the Kalmyk, known as a symbol of 'little East(orient)in Russia, portrays in the Russian literature (poetry), especially in Vasilii Zhukovskii's, Pushkin's, Velemir Khlebnikov's and Sergey Yesenin’s poetries.
    The Kalmyk was the subject of much interest to the Russian writers and poets. Expressly the Kalmyk people, in the capacity as symbolic literary material, was a huge attraction for Russian poet, like Zhukovskii, Pushkin, Khlebnikov and Yesenin.
    Velemir Khlebnikov have lived in Kalmyk Republic. Yesenin and Pushkin have visited the Kalmyk. They successfully introduces Kalmyk’s existence to Russian people, who rarely know about the Kalmyks. They compose poets about Kalmyk people. And they portrays in their own poem’s works Kalmyk people appearing at the image with a few enumerated as follows: First, the coexistence of nature. they describe Kalmyk as people, who live together with natural grasslands, grazing sheep, horses and cattle. Second, the wild beauty and the brutality that is both owned shape. Third, they portrays in their poetry Kalmyk as a people, who have been oppressed by Rus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