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형도 시에 나타난 시대적 징후 (Signs of the Times in Ki Hyeong-do’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기형도 시에 나타난 시대적 징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學硏究 / 30권 / 121 ~ 151페이지
    · 저자명 : 송종원

    초록

    이 논문은 기형도 시의 문학사적 위상을 재평가하고 재구성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형도는 자주 90년대적 시인으로 해석되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해석의 과정은 기형도 시에 내재하는 역사성을 독특한 방식으로 굴절시킨다. 다시 말해, 그의 시가 80년대 중반 이후 노동의 현장에서 발생한 노동자의 분화양상을 특정한 형식으로 형상화 하는 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배제하며 동시에 노동시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그의 시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박탈한다. 또한 기형도의 시에 80년대 광주의 기억을 애도하며 그것을 종결된 정치적 사건으로 취급하지 않으려는 인식과 의지가 내재해 있다는 사실 또한 외면한다.
    기형도의 시가 80년대 해체시와 차별화하여 도시적 공간을 시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그 공간 속에서 혼돈과 절망의 감각을 산출한 것만이 아니라 나름의 서사화된 삶을 꿈꾸는 작업을 수행했다는 점 역시 새롭게 평가하고 해석할 지점이다. 기형도의 시에는 더 큰 질서로 이행하려는 의식의 지향 역시 발견되며, 이러한 면모는 그간의 연구들이 기형도의 시를 전형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해체할 만한 내용을 함축한다.
    기형도의 시가 80년대에서 90년대로의 시사(詩史)의 변화 과정에서 수행했던 역할은 그 시대 사이의 단절의 징후를 드러냈다고 볼 수 없다. 그의 시세계가 두 시대 사이에서 어떤 지속성과 통합을 의도하고 또 의식하고 있었는지는 확인가능하며, 이러한 작업은 기형도의 시를 매개로 한국 시의 역사성을 새롭게 조망할 지점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s purpose is to re-assess and re-construct the graceful poetry in the literary position of Ki Hyeong-do’s poetry in previous studies on verse. Ki Hyeong- do was frequently construed and assessed as a poet throughout the 1990s. The main spirit expressed in his poetry was pointed out as having nihilistic color and hopeless sensitiveness, which was a result of his separation from the literacy of the 1980s that put emphasis on ideology and social cause. The process of such an interpretation refra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embedded in his poetry in a unique way. In other words, such interpretation excludes the fact that his poetry was successful in imaging the division of a picture of laborers toiling in their work sites in the latter years of 1980s and at the same time deprives the possibility that his poetry can be viewed in a new light in the historic characteristics of labor poetry. In addition, such interpretation ostracizes a fact that the recognition and will inherent in his poetry grieves on the memory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and treats the memory as a resultant political event but does not nullify it.
    Ki Hyeong-do’s poetry not only separates itself from other examples of de-construction poetry in the 1980s and sets urban spaces as poetic realms but also expresses feelings of confusion and hopelessness in its spaces. Moreover, his poetry expressed his dreams of a narrative life thereby. This point should also be assessed and construed in a more systematic way. In fact, it is not difficult to find various features of internal conflict in the hopelessness and futility frequented in the world of his poetry. More than that, it is found that his intent was to advance to a larger order by means of understanding such conflicts. This understanding implies a possibility that the frame of conventional analysis of Ki Hyeong-do’s poetry should be broken.
    It should not be a fact that the role of Kim Hyeong-do’s poetry in the changing course of poetic history from 1980s to 1990s revealed a symptom of separation of the times. We can secure a point to put the historic character of Korean poetry in a new light by means of the poetry of Ki Hyeong-do through interpreting the fact that his poetic world intended to be seen and recognized as a certain form of continuity and unity through hi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