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육사 시의 생명주의 -초월과 고절- (Lifeism in Poetry of Lee Yuk-Sa -The Transcendence and Lofty Virtu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5
21P 미리보기
이육사 시의 생명주의 -초월과 고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2호 / 9 ~ 29페이지
    · 저자명 : 유병관

    초록

    이 글은 이육사의 시에서 생명주의의 성격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생명주의는 1910~20년대 일본과 중국, 한국의 사상계와 문예사조 전반에 걸쳐 크게 유행하였다. 육사는 어려서 전통적 유가(儒家)교육을 받았지만, 곧 일본과 중국을 넘나들며 근대 교육의 세례를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육사가 당시의 생명주의 사상과 생명주의에 기반을 둔 신낭만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육사의 또 다른 필명인 이활(李活)도 생명주의와 연관 지을 수 있다. 또한 육사의 문학적 특질의 하나인 고절(高絶)이나 초월(超越)은 생명주의와 매우 관련이 깊다. <꽃>, <교목(喬木)>, <절정(絶頂)> 등의 시에서 생명을 위협하거나 소멸시키는 위기상황과 이에 대결하는 시적 대상의 고절함을 그리고 있다. 이 고절은 전통적인 유교적 선비정신과 연관이 깊지만, 새로운 사조로서의 생명주의와 결합함으로써 육사의 시에서 핵심적 성격을 띠게 된다.
    또한 생명 소멸의 극한의 한계상황, 그 정점에서 고난과 시련을 통해서만 새로운 생명이 탄생할 수 있다는 깨달음이 초월의 순간이다. 생명주의의 특징의 하나인 이 초월을 통하여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무한한 역사적 전망을 획득한 시가 <광야(曠野)>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생명주의는 육사의 시와 삶에서 시대의 질곡을 뛰어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lifeism in Lee Yuk-sa's poems and shed light on its meanings. Lifeism was a huge vogue across the thinking worlds and literary trends of Japan, China, and Korea in the 1910s and 1920s. Even though he received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as a child, Yuk-sa was baptized with modern education between Japan and China soon. In this process, he was influenced by the ideas of lifeism and the trends of Neo-Romanticism based on lifeism in those days.
    His other pen name Ihwal is also connected to lifeism. Lofty virtues and transcendence, part of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deeply connected to lifeism. In his <The Flower>, <High tree(喬木)> and <Zenith(絶頂)>, he describes crisis situations in which life is threatened or extinguished and the lofty virtues of his poetic objects confronting them. The lofty virtues are profoundly related to the spirit of Confucian scholars, but they became the essential nature of his poetry by combining with lifeism as a new trend.
    The moment of transcendence happens with the realization that new life can be born only through suffering and hardship at the zenith of the extreme critical situation of life extinction. His <Wild Plain(曠野)> acquires limitless historical prospects beyond limited time and space through this transcendence as one of lifeism's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show that lifeism was the driving force beyond the ordeals of the times in Yuk-sa's poetry and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