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子<觀書有感>詩의 韓國的 受容 (A study on how Korean's poets accepted Juja's “Felts after readi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4
41P 미리보기
朱子&lt;觀書有感&gt;詩의 韓國的 受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27호 / 95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구의

    초록

    본고는 주자(朱子) <관서유감(觀書有感)>시가 우리나라 시인들한테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이 <관서유감>시가 고려 말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부터 수용되었다. 특히 16세기 이후 주리파(主理派)들에 의하여 이 시가 다시 주목받았다. <관서유감> 시의 구절에 의미를 부여한 사람은 퇴계 이황이 처음이다. 이후 신정모(申正模), 탁계(濯溪) 김상진(金相進), 정조(正祖), 곽종석(郭鍾錫) 등이 나름대로 이 시를 풀이하고 있다. 이들을 보면 정조와 김상진을 제외하면 모두 경상도(慶尙道) 사람으로 퇴계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다.
    <관서유감>시의 수용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관서유감’이라는 제목을 수용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주자의 <관서유감> 시와는 그 내용이 다르다. 주자의 시에 화운 또는 차운하지 않았고 형식도 5언 또는 7언, 절구 또는 율시로 다양하다. 이러한 제목의 시가 16세기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에 해당하는 시인들은 대부분 영남지방 출신 학자들이다.
    둘째 화(和)・차운(次韻)을 통한 형식(形式)과 내용(內容)의 수용이다. 이에 해당하는 시인들은 모두 주자의 <관서유감>시의 형식과 내용을 많이 수용하였다. 이들은 모두 영남지방 출신 학자들이며, 퇴계학맥(退溪學脈)을 잇는 주리파(主理派) 학자(學者)들이다. 이는 퇴계(退溪)가 주자학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곧 퇴계가 직접 ≪주자대전≫을 완독하였고, 주자의 편지를 추려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관서유감> 시를 수용하고 그 맥(脈)을 잇는 사람은 영남지방, 그것도 퇴계학맥과 직결된다. 조선(朝鮮) 22대 임금인 정조(正祖) 또한 남인(南人)을 중시하였기에 퇴계학맥과 깊은 관련이 있다.
    셋째 용사(用事)를 통한 <관서유감>시에 나오는 어휘(語彙)를 수용한 경우이다. 조선 시대 시인들이 주자의 <관서유감>에 나오는 어휘(語彙)를 빌려 쓴 경우가 대단히 많다. 첫째는 제목을 수용한 경우이고, 둘째는 제1수(首)의 어휘를 용사한 경우, 셋째는 제2수(首)의 어휘를 용사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지역에 관계없이 많은 시인들이 주자의 시에 나오는 어휘를 수용하고 있다. 특히 16세기 이후의 작품에서 주자의 이 시에 용사한 경우가 많다. 이것은 우리나라에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유행한 것과 그 궤를 같이 한다.
    또 이들은 자신들의 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생활공간의 이름도 주자의 <관서유감>에 나오는 시어를 빌려 쓰고 있다. 이는 그만큼 주자의 이 시가 조선 시대 선비들의 의식 속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영어초록

    This script is considered about how korea’s poets accepted Juja's 〈Felts after reading〉. It was exported to Korea and started to be accepted from end of Korea era. Especially got attention again by members of a Confucian school of definite view of reason after 16c. Toegye Lee, Hwang was first person who gave the meaning to 〈Felts after reading〉's phrase. After ShinJeungmo, KimSangjin, Jungjo, KwakJongseok translated the poem in their on way. To look at these peoples, except Jungjo and KimSangjin, they come from Kyeungsang region, were influenced by Toegye.
    〈Felts after reading〉's aspect of acceptance can divide into 3 ways. First of all, receive the title 〈Felts after reading〉. In this case, content is different from Juja's 〈Felts after reading〉.
    Didn’t compose a rhyme in response, form is various, such as 5 or 7 alphabets in 1 line of verse, phrase or style of chinese poetry. This kind of title was appeared end of 16c. Who come under this tendency were mostly from Youngnam region’s scholars.
    Secondly, acceptance of form and content by sum, having a loan of meter. Every poets who's related, accepted much Juja's 〈Felts after reading〉's form, contents. All these people are scholars from Youngnam region. Followers of a Confucian school of definite assertion of reason, which is generation of Toegye’s study line. This means no difference from Toegye was interested in Juja's. Can say Toegye was interested in Juja's .
    Toegye completely read〈The complete book of Juja(朱子大全)〉by himself, selected Juja's letter and made〈The essentials of Juja's letter(朱子書節要)〉. As this reason, who accepted, inherited 〈Felts after reading〉, directly connect to Youngnam region, especially Toegye line. Jungjo, who was 22nd king of Chosen, also has deep connection with Toegye's line, because he liked the school of south. Thirdly, inherited lexical in poet through quotation of old history. In this case, many poets from Chosen era borrowed lexical from Juja's poem.
    Here are the cases. Firstly, inherited title. Secondly, quote the lexical from the first poem. Thirdly, quoted vocabulary from the second piece. This case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region, many poets accepted lexical from Juja's poet. Especially, after 16c, many poems using of an event of the remote past from Juja's.
    Moreover, they borrowed lexical from 〈Felts after reading〉 not only poem but also name of living space. This means the poem from Juja's is rooted deeply in Chosen’s erudite people’s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