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의 공원 프로그램 운영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k Program Operatio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4
10P 미리보기
서울시의 공원 프로그램 운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8권 / 2호 / 10 ~ 19페이지
    · 저자명 : 조윤주, 채영, 위만규, 정상학, 송형남, 김연금

    초록

    공원 프로그램으로 시대 변화에 따른 여가욕구의 다양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용자와 공원과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울시는 1997년의 남산 야외식물원 식물교실프로그램 이후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고, 세 개의 공원녹지사업소에 공원여가과를 신설하여 조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는 공원 이용자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램 운영 주체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드러내고자 한다. 구체적 목적은 ‘1. 관련 법 및 운영 조직과 인력의 구성을 파악하여 서울시 공원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제도적 특성을 진단, 2. 프로그램 운영비의 조달과 집행, 민관 협력 등 운영방식을 분석, 3.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운영된 구체적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구조와 프로그램 간의 관계성 파악’이다. 연구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첫 번째 프로그램 운영의 구조에 있어서는 지원법은 체계적이지 못하나 운영 조직은 체계를 갖추어 나가고 있었다. 두 번째 운영방식에서 대부분의 예산은 지방정부가 충당하고 있었고, 민간참여의 단계는 낮았다. 세 번째로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은 양적으로는 증가되었지만 특정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고, 공원시설을 적극 활용하는 프로그램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세 가지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는, ‘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공원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 및 지원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의 양적 증가에서 질적 향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마지막은 공원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 푸른도시국을 시민주도 및 여가문화 지향의 조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많은 공원 프로그램 관련 연구와는 달리 프로그램 이용자가 아닌 서비스 제공자인 공원관리청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연구 결과는 서울시뿐만 아니라, 타 지방정부가 수요자가 중심이 되는 공원 관리 및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시민의 가장 가까운 여가공간으로서 공원의 장기적 비전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ark program can adeptly cop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leisure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The program also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and the park itself closer. For this reas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operated a variety of programs, beginning with the Botanical Class Program at the Namsan Outdoor Botanical Garden in 1997. The government additionally began to organize park programs by establishing the Park and Leisure Department and three Park Greenery Offices. However, research on park programs is mainly focused on park us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programs by studying the program oper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Review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at underlie the operation of the Park Program in Seoul by examining the relevant laws, the operation organizations, and the personnel composition, 2. Analyze the operation methods, such as procurement and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operation costs, and public-private cooperation methods, etc. 3. Analyze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program from 2015 to 2017, and proces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the program itself.' Summariz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s far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program operation, the support laws were not systematic, but the operating organization was working to establish a system.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operation is that most of the budget was funded by local governments, but the level of citizen involvement was low. Third, whe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programs increased, but they were focused on a specific theme and few programs actively used the park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three tasks can be proposed. The first is that the ‘Act on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include the concepts and support for park programs. Second, there is a need to change from the ideas of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programs to qualitative improvements. Lastl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Green Seoul Bureau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o a citizen-led and leisure-oriented organization to promote the park leisure cul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was conducted with a service provider, not a program user, unlike many previous park program-related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ut also to other local government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manage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park for the consumer, and consequently, it will help prepare the long-term vision of parks as the closest leisure location for most citiz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