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정희 시의 양성평등의식 연구 (Gender Equality in Junghee Moon'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1
21P 미리보기
문정희 시의 양성평등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1호 / 77 ~ 97페이지
    · 저자명 : 구명숙

    초록

    문정희는 1969년 「월간문학」에 시인으로 데뷔한 후 다양한 시창작 활동을 펴 오면서 그리움, 사랑, 생명, 자연, 자유, 불평등 등의 인간 삶의 모습을 현장감 있는 시어로 담아내어 주목을 받아왔다. 그의 작품들의 영역 속에는 사회적 모순 속에 여러 가지 형태로 내재해 있는 여성문제들을 포착해 내고 여성주의적feminism 시각에서 올바른 전망을 제시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곧 억압받는 여성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면서 사회적 경험과 지각 방식을 보편적인 것으로 표준화하려는 태도를 근절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페미니스트로서 여성적인 것의 특수성이나 정당한 차이를 정립하고자 하는 안목과 의지, 여성 억압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억압과 차별을 타파하고 마침내 양성평등실현을 통한 상생과 공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문정희 시의 이러한 특성을 그의 생태여성주의 시작품들과 시집 『남자를 위하여』를 주 대상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보았다.
    문정희의 시에 나타난 여성성과 남성성의 본질은 자연스러움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당당한 그의 목소리들은 차별받는 여성의 처지만을 노래하지 않고 부드러움과 생명력 등 여성의 본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종전의 페미니즘 작품들과는 달리 투박하고 활력 있는 남성성을 존중하며 그들을 향해 손을 내밀어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는 데에 그 특성이 있다.
    아울러 생태여성주의Ecofeminism 시가 담고 있는 여성과 남성 그리고 자연에 대한 논의를 통해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의 남성중심적이고 이성중심적인 현실 세계의 문제점들을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적, 실천적 방향이 양성평등을 실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생태여성주의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문정희 시인은 여성은 그들이 지닌 생물학적 본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여성적인 힘에 대한 자기 긍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정한 여성의 힘을 원시적 자연성에서 찾고 있다. 인간은 야성의 자연을 지배하기 위하여 자연의 야성을 인간이 다스려야 할 것으로 규정지었을 뿐만 아니라 문명사회는 야성의 인간에게도 야만이라는 이름을 붙여 거세하였다. 문정희는 이 같은 왜곡된 현상이 자연스러운 본성을 망각한데서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위적인 제도와 관습이 개입하기 이전의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은 동등한 권리와 자격을 가진 양성이며, 원시적인 생명의 건강성이야말로 가장 본성에 가까운 생활이라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문정희의 시 「다시 남자를 위하여」에서 보여주는 왜소하고 무력해진 남성성에 대한 질타와 회복의 소망은 남녀 구분 이전의 보다 원초적인 인간과 자연을 꿈꾸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야성의 남성들을 사라지게 한 것은 획일적 여권 운동가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문정희는 남성 또한 이데올로기의 희생자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야생성을 간직하고 있는 남성성과 다산의 원시성을 간직한 여성과 상통하는 것으로 본다. 생명적 고리를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남성과 여성이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조화와 평화의 세계인 양성평등한 사회임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Junghee Moon, who made her debut as a poet in 1969 through Monthly Literature,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for her vivid writing. She is known for her works that capture broad spectra of human life such as longing, love, life, nature, freedom, and inequalities. What underlies her works are feministic movements to provide proper prospects to various women's issues within social ironies. She attempts to make the society understand common interests of oppressed women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with the purpose of eradicating the attitude which standardizes and generalizes social experiences and cognitions.
    Moon also actively communicates her ideologies as a feminist; she starts from the insight and the will to establish social conscience and recognition of legitimate difference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continues on to overthrow gender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inally, Moon proposes a directing point for achieving gender equality. This paper examines Moon's poetical works, primarily "For Man," as well as her ecofeministic works.
    The essence of masculinity and feminity in Moon's poems are utterly natural; her bold voice not only sings of devastating situations of discriminated women but also expresses softness and vitality of women's nature. Unlike former feministic works, she respects rustic, lively masculinity as well and seeks for respectful coexistence among men and women.
    Through contemplation on women, men, and the nature that are explored in her ecofeministic poems, the artist suggests precisely contemporary issues rooting from capitalism and patriarchy. Moon indicates that conceptual, mental, and practical exertion to overcome ecologic crisis will also achieve the gender equality.
    In Moon's assertion, women has positive power of self-affirmation; they recognize their biological nature as natural human essence. Moon finds such essential power of women from their primeval nature. Human beings defines the nature as subject of regulation; civilized societies had emasculated untamed human, naming them barbarians. Moon expresses that these distorted phenomena are originating from oblivion, one of natural essence of human beings. Moon insists that women and men had been granted equal rights and qualifications before artificial customs and institutions intervened, and that such healthy, primeval life is the closest to the human nature.
    Rebuking of impotent and diminutive masculinity in Moon's poem "Again For Man" is understood as longing for basic human and the nature before gender separation. However, she also says that some feminist also holds responsibility for extinction of such wild-natured man, for they degraded and weakened men's masculinity. Unordinarily, women stand as the assailant rather than victim. Moon does not ignore the possibility for men to be victims of ideologies; she finds commonness in wild masculinity and premieral feminity. Conclusively, Moon suggests that gender-equal society in which men and women form one unified community is the essential to peacefully maintain the ecological ch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