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울증적 합체와 점유되지 않는 시적 주체 -용산참사와 공간 점유의 시적 양상- (Depressive coalescence and poetic subject is not occupied -Yongsan tragedy and poetic aspects of space appropri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우울증적 합체와 점유되지 않는 시적 주체 -용산참사와 공간 점유의 시적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1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박상수

    초록

    용산참사는 자본축적의 일방적인 대상으로 전락하여 공간을 박탈당하고 내몰려야 했던 몫 없는 사람들이 ‘생존권을 보장을 위한 협상’을 요구했다가 ‘생명권’마저 상실하게 된 비극이었다. 또한 폭력을 독점한 국가권력의 자기증명 욕망이 ‘공간 강탈에 의한 축적’을 추구하는 자본과 공모하여 사적 이득의 최대화를 추구하는 중간계급의 적극적인 무관심을 배경으로 발생한 사건이기도 했다.
    용산참사와 관련하여 많은 예술인들의 대응이 있었다. 특히 시인들은 용산참사를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을 통해 우울증적 합체를 가장 효과적인 공간동일시의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물리적 차원이 아니라 심리적 차원의 공간 재전유 시도였다. 이 중에서도 먼저 심보선의 시적 주체는 절박하고도 급진적인 공간의 동일시만이 바로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우리의 집에 난 창문을 모두 부수어야 “그들”을 ‘눈 앞에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지킬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심보선의 시적 주체가 시를 읽는 모든 자들에게 ‘우울증적 주체’가 되기를 강력하게 요청했다면 손택수의 시적 주체는 우울증적 합체 이후 공간 동일시의 양상을 성찰적인 목소리에 실어 들려주었다. 용산참사라고 하는 기억, 그 기억이 배경으로 삼는 공간을 내적으로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이물감을 견디고 수긍하며 우울증적 합체의 순간을 몸으로 구현해낸 것이다. 아름답기만 했던 벚꽃은 이제 그에게는 참사로 죽어간 사람들의 삶을 대신 살아가는 자의 눈으로 감상하는 다른 나무, 다른 수사학이 되었다.
    그러나 우울증적 합체에는 분명 자기기만적인 요소가 있다. 즉 우울증적 주체가 대상을 사랑하지 않았고, 그런 이유로 실은 대상을 ‘결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을 ‘상실’했다는 슬픔에 과도하게 빠짐으로써 원래 그 대상을 소유(사랑)하고 있었다는 착각을 자기기만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김이듬은 또 다른 공간 점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상투화된 우울증적 합체를 거부하고 가장 ‘비문학적인 방식’으로 어디에도 없는 ‘다른 주체’의 자리를 꿈꾼 것이다. ‘점거되지 않는 공간으로서의 주체’의 자리가 바로 그것이었다. 만약 시를 통해 우리가 분투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그 가장 급진적인 자리는 전체 질서에 대한 상시적인 위협으로서 점유되지 않는 공간에 대한 기투일 것이다. 이는 분명 일회적인 반성과 시도로 성취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무한히 결핍되고 균열된 주체의 공간을 만들어나가야 하는 미완의 지속적인 분투과정이어야 한다. 우울증적 공간 동일시의 작용과 점거되지 않는 공간으로서의 주체는 서로를 보완하며 현실과 관계하는 지속적인 기획으로 더욱 섬세하게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ore than middle-class people crowd who own a house or land has been robbed the accumulation of surplus value and the oligopoly. This is a problem. In this context, the victims of capital accumulation was reduced to a one-sided target. They also kicked space deprived people who do not share the 'negotiations for the right to life guaranteed' demanded the 'right to life' even lose the Yongsan tragedy is right. To seek to maximize private gain middle-class attitude of indifference to the active force added.
    Meanwhile, with regard to Yongsan tragedy was a lot of artists to respond. In particular, the poets were shaping Yongsan tragedy poetically. In particular, the poets, the most effective reintegration of the depression in the way of equating were used. Psychological, not physical dimension dimensional space was re-appropriation try. The poetic subject of Sim Bo-Sun is too radical a desperate and identification of space right now, we can only say that in the days. We must break all the windows in the house then we can transform "them" into "the person in front of eyes', and can keep. Poetic subject of Sim Bo-Sun requested for everyone to read at the 'depressive subject' strongly. the poetic subject of Son Taek-Su , the reflective voice tells coalescence of depression. Inwardly he equates the Yongsan tragedy. At this moment, foreign body sensation occurs. Ever-lasting depression, but it proves to be united to the body. Beautiful cherry trees are different. Now he's on behalf of those who died in tragedy live. Now, in the eyes of the dead, the poet looks at the tree.
    However, depressive coalescence has elements of self-deception. The subject of depression did not love the destination. Also, for this reason, the target is lacking. Nevertheless, he over-indulge in grief. Targets 'loss' that would want to meet sorrow. So the object owning the original (love) and had to keep the illusion of self-deception. At this point, Kim Yi-Deum another shows the potential of space occupied. She rejects conventional coalescence of depression. She is the most 'literary' other entity that is not the way 'to the place of hope. 'As the space is not occupied the subject', it is the right place. What can we do struggle is the fight for space. The most radical position on the entire order as a standing threat unification based on space occupied will not. This is obviously a one-off that can be achieved by reflection and not try. Create space to get out of a crack subject to continuous strenuous process must be incomplete. Space identification of depressive coalescence is important. The subject does not take over the space that is left is more important. The two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and to change the reality of ongoing planning will be pursued more delica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