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두운 조건에서 디지털기기 사용 시 거리와 휘도에 따른20대 성인의 시기능 변화 (Effects of Distance and Luminance on Visual Function in Adults in their 20s Using Digital Devices in the Dark)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9
8P 미리보기
어두운 조건에서 디지털기기 사용 시 거리와 휘도에 따른20대 성인의 시기능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안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안광학회지 / 29권 / 3호 / 123 ~ 130페이지
    · 저자명 : 정승원, 서민경, 박미정, 김소라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두운 환경에서 디지털기기의 사용 시 디스플레이의 휘도 조건과 주시 거리에 따라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어두운 조도(0 lux)에서 각각 저휘도(3.17±1.42 cd/ ᅠm2)와 고휘도(423.7±3.65 cd/m2)의 디스플레이 조건으로 33 cm 및 50 cm 거리에서 근업으로 15분 간의 영상시청을 수행 ᅠ ᅠ ᅠ 하도록 하였다. 디지털기기 사용 전후 조건에 따른 시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대조절력, 조절래그, 원·근거리 사 위도, 계산 AC/A비 및 입체시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저휘도 조건에서 33 cm 거리의 근업 시 양안 최대조절력 ᅠ 변화는 고휘도 조건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저휘도 조건 하에서 거리에 따른 변화는 짧은 거리 인 33 cm에서 근업 시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조절래그 변화는 휘도 조건이나 거리에 따른 일관적 ᅠ 인 변화 양상을 관찰하기 어려웠다. 원거리 사위도의 경우 근업 거리가 가까울수록 내사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휘 도는 높아질수록 외사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근거리 사위도의 경우는 33 cm의 근업 시 고휘도 조건 대비 저휘도 ᅠ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내사위화의 경향을 나타내었고, 계산 AC/A비 변화는 33 cm 거리에서 저휘도 대비 고휘도 조건에 ᅠ 서 더 큰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며, 고휘도 조건에서 계산 AC/A비 감소는 33 cm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ᅠ 어두운 환경에서 근업 후 입체시는 디스플레이의 휘도 조건에 관계없이 근업 거리가 가까울수록 감소가 커졌으며, 그 정도는 고휘도 조건일 때 저휘도 조건 대비 더 컸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어두운 환경인 암소시 조건에서 디지털기기 사용 시 고휘도보다는 저휘도 조건의 디스플레이에서 시기능과 교차결합 강도의 변화가 크지 않고, 저휘도 조건에서 50 cm 근업 시 입체시 저하가 적은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 디지털기기 사용 시 적은 시 ᅠ 기능 변화와 피로도 저하를 위하여서는 저휘도의 디스플레이와 50 cm 정도의 거리 유지를 제안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Purpose: The effects of the display luminance condition and viewing distance on visual functions during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the dark were investigated. Methods: Seventeen subjects in their 20s were asked to watch a video on a digital device for 15 min under two different luminance conditions, i.e., low (3.17±1.42 cd/m2) or high (423.7±3.65 cd/m2), at distances of 33 and 50 cm in a scotopic condition (0 lux). To assess changes in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use of the digital device,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nd lag, phorias at near and far distances, AC/A ratio, and stereopsis were measured. Results: Under low luminance at a viewing distance of 33 cm, the change in binocular accommodative amplitude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at under high luminance. Under the low-luminance con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only at the distance of 33 cm. Accommodative lag did not show a consistent changing pattern based on the luminance or distance. For far phoria, there was a tendency of esophoric shift as the viewing distance decreased, and high luminance tended to induce exophoric shift. Near phoria showed a tendency of esophoric shift under low luminance compared with high luminance at 33 cm. The calculated AC/A ratio showed a larger decrease at 33 cm under high luminance compared with low luminance, with significant change observed only at 33 cm under high luminance.
    Regardless of the luminance condition, stereopsis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at 33 cm, with a larger decrease observed under high luminance compared with low luminance.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the scotopic condition, using a digital device with a low-luminance display results in smaller changes in visual function and cross-link strength compared with a high-luminance display. Additionally, under the low-luminance condition, stereopsis was less diminished at a distance of 50 cm. Therefore, to minimize changes in visual function and reduce fatigue when using digital devices in the dark, it is recommended to use low-luminance displays and maintain a viewing distance of 50 c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