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문 시의 공간성 연구 (A Study on Spatiality of Shin Dong-mun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8
25P 미리보기
신동문 시의 공간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3호 / 299 ~ 323페이지
    · 저자명 : 오윤정

    초록

    신동문 시는 전후시의 지형 아래 전쟁에 대한 개인 체험과 당대의 상황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이로써 당시 관념적이고 당위적인 전쟁시의 한계를 훌륭하게 극복하는 시적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의에 비해 현대시 연구에서 신동문 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소략한 편이다. 본고는 신동문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에 주목함으로써 신동문 시에 대한 연구를 확충하고자 한다. ‘시적 공간’은 신동문 시의 본질로 접근해 가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 된다. 신동문 시는 ‘전쟁’이라는 역사적 공간 안에서 인간의 실존적 자세를 ‘제3포복’으로 형상화했다. 그에게 ‘제3포복’의 공간은 집단적, 역사적 비극을 보여주는 배경이자, 실존의 문제를 묻는 장소이다. 중요한 것은 신동문 시가 그 안에서 공간의 무화, 정체성의 상실, 비인간의 공간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그곳은 삶보다는 죽음으로, 장소가 아닌 비장소로, 인류학적 공존이 아닌 인간 학살로 전개되는 극한 갈등을 보여준다.
    특히 신동문의 시에서 주로 나타나는 수평의 공간분할은 시적 화자의 폐소공포와 불안의 동인이 된다. 이와 같은 수평적인 공간제시는 한계상황 속에 놓인 인간의 실존 자세를 구조화한다. 그것은 높이에 대한 이상과 명령자의 강압에 의한 하강압력을 구도화하며, 그 안에서 시적 화자는 엎드린 자, 수평의 신체로 제시된다. 한편으로 신동문 시는 끊임없는 수직에 대한 지향을 통해 그와 같은 현실에의 저항과 비판의지를 드러냈다. 신동문 후기시에는 수직의 공간지향이 전면화되어 나타나며, 불의에 맞선 저항의지와 승리를 향한 신념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수평적 공간성을 극복하고, 불구화된 신체를 극복하는 저항적 신체의 표상으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Shin Dongmun poetry presents the poetic achievements vividly reproduc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under the topography of the postwar period. This is an example of a brilliantl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ime of war. The deep search for human beings trapped in marginal situations, or presenting an authentic situation based on experience, shows another value of postwar poetry. However, compared with this significance,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Shin Dongmun poetry in modern current affairs.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ity appearing to complement and expand the study on Shin Dongmun poetry. And I want to pay attention to Shin Dongmun as a more important poet in the postwar history.
    For a new discussion, I pay attention to the poetic space and the problems of phobia that appear in the poem. The problem of 'poetic space' is a very important way of approaching the essence of poetry. Shin Dongmun poetry represents the existential attitude of human beings in the historical space of 'war'.
    Here the time is stopped, and the space is foreseen. The poetic space that appears in Shin Dongmun poetry is a place to show collective and historical tragedies, and a place to ask about the problem of existence. What is important is this poetry shows the loss of identity, the spatiality of inhumanity. It portrays extreme conflicts that develop into death rather than life, death, non-places, and human slaughter, not anthropological coexistenc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in Dongmun poetry as a horizontal geometrical space, and discuss it through the language of phobia and the problem of materialized flesh in his poem. The horizontal space of Shin Dongmun poetry structures the existence attitude of the human being in the limit situation. The objectified body in his poems is associated with this spatiality, which can be read as a phobic metaphor for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