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 시에 나타난 이율배반과 디아스포라 의식 연구- 두보와 이백의 시 인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radiction and Diaspora Consciousness in Baekseok's Poetry - Focusing on the References to the Poems of Du Fu and Li Ba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5.03
33P 미리보기
백석 시에 나타난 이율배반과 디아스포라 의식 연구- 두보와 이백의 시 인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95호 / 105 ~ 137페이지
    · 저자명 : 고옥호

    초록

    본 논문은 백석, 두보, 이백의 시를 분석하여 세 시인이 시에서 드러낸 디아스포라 의식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백석이 「두보나 이백 같이」에서 언급한, 두보와 이백과 유사한 방랑 감정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한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시인이 처한 외부 환경과 내면 감정 사이의 대비 관계를 중심으로 백석 시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분석한다. 이전 연구와 달리, 본 논문은 칸트의 이율배반 이론을 활용하여 외부 세계와 시인의 내면적 감정 사이의 장력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백석 시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해석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정주성」과 이백의 「夜泊牛渚懷古(야박우저회고)」에서 백석과 이백은 각각 빛과 이둠, 소리, 밤과 낮 등의 대비를 통해 이상과 현실 간의 깊은 이율배반을 보여준다. 빛과 어둠, 소리, 밤과 낮의 대비 속에서 이상에 대한 연약함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이상 추구와 현실 억압의 모순은 시인의 내면에서 해결할 수 없는 장력을 형성한다. 이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떠도는 디아스포라 의식의 표출이다.
    「안동」과 두보의 「水檻遣心二首(수함견심이수)」에서, 두 시인은 이 디아스포라 의식을 한 감싸인 고독감으로 더욱 강조했다. 안동 거리에서, 혹은 초당(草堂)의 편안한 분위기에서 외부 환경과 시인의 방황하는 내면은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이러한 내외부의 대립적인 장력은 두 시인이 타향(他鄉)에서 진정한 내면의 귀속감을 찾지 못한다. 그들은 지역 생활을 벗어난 주변 존재가 된다.
    또한, 「조당에서」와 두보의 「花卿(증화경)」, 이백의 「將進酒(장진주)」는 집합 속에서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드러낸다. 이러한 의식은 피할 수 없는 간극을 내포하고 있다. 함께 목욕하는 목욕탕에서, 혹은 음악과 즐거움 속에서, 혹은 친구들과 술을 마시는 광란 속에서 ‘공존’과 ‘차이’의 역설은 실존한다. 어려움에 부닥친 시인은 한편으로 주변 환경과 하나가 되고자 하며, 또 한편으로는 개인의 독특성과 차별성을 유지하려 한다. 시인은 특정한 역사적,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신이 직면한 감정적 갈등과 자아와 타인,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하려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poems of Baekseok, Du Fu, and Li Bai to explore the diaspora consciousness revealed by the three poets in their works. Through this, the understanding of the wandering emotions, similar to those of Du Fu and Li Bai, mentioned by Baekseok in Together with Du Fu and Li Bai is further deepen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analyzes Baekseok's diaspora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contrast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oet's inner emo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uses Kant's theory of antinomy to analyze the tension between the outside world and the poet's inner emotions. In doing so,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interpreting Baekseok's diaspora consciousness in his poetry.
    In Jeongjuseong and Li Bai's Night Mooring by the River Cow, both Baek Seok and Li Bai show deep contradictions between ideals and reality through contrasts of light and darkness, sound, and night and day. The fragility of ideals is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contrasts between light and darkness, sound, and night and day.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pursuit of ideals and the repression of reality forms an unresolved tension within the poet. This expresses the diaspora consciousness floating between ideals and reality.
    In Andong and Du Fu's Shuikan Xian Xin Er Shou, the two poets further emphasize this diaspora consciousness as a "besieged loneliness." In the streets of Andong or the peaceful atmosphere of the grass hut, there is a clear contrast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oet's wandering inner world. This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shows how the two poets fail to find a true sense of belonging in foreign lands. They become peripheral existences outside the local way of life.
    Additionally, At the Chodang and Du Fu's Hua Qing, and Li Bai's Song of the Wine reveal the diaspora consciousness within the collective. This consciousness inherently carries an unavoidable gap. In places like the bathhouse, amidst music and joy, or in the frenzy of drinking with friends, the paradox of "coexistence and difference" truly exists. The poet, confronted with difficulty, seeks to merg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his individuality and distinctiveness. The poet strives to reflect deeply on the emotional conflicts he faces within a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others, and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