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날이미지시’의 표상 공간 (The Representation Space of ‘Raw Image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4
31P 미리보기
‘날이미지시’의 표상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2권 / 1호 / 303 ~ 333페이지
    · 저자명 : 함종호

    초록

    오규원 시세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시인이 가지고 있는 시어에 관한 자의식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수사적 기법을 통해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날이미지시’라는 오규원의 후기 시세계에서 새롭게 모색된 시 창작 방법을 밝히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접근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 방식에 덧붙여 본고는 ‘날이미지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표상 공간의 내밀한 모습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는 ‘날이미지시’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세계 인식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요소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는 노력에 해당한다.
    ‘날이미지시’의 표상 공간이 가지고 있는 주요 특징은 ‘사이 공간’으로 명명할 수 있는 잠재성의 공간에 비인칭적인 주체에 의해 포착된 객관 세계의 모습이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상은 구체적으로 환유의 수사와 만날 때 의미론적으로 무의미의 경향성을 띠게 된다. 이것은 ‘날이미지시’가 동일성보다는 차이성을 추구하는 세계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변별적인 자질을 갖춘 다양체로서의 시․공간이 ‘날이미지시’의 시상의 전개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그러한 세계는 ‘수렴’과 ‘발산’의 작용을 동시에 수반하며, 세계 내 변화, 운동, 생성 등을 표현한다.
    ‘날이미지시’에서 나타나는 잠재성의 모습이 표상 공간 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시․공간의 양상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기법과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이를 확인하고자 했다. ‘날이미지시’에서 나타나는 시․공의 모습은 영화에서의 편집 방식과 ‘쁠랑 세깡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현된다. 그것은 시간의 연속과 공간의 거리를 인위적으로 단절시키고 하나의 앵글로 포착하기 어려운 객관 세계의 모습을 발산적으로 펼쳐 보이는 방식에 의해 표현되거나, 여러 개의 동적 화면을 전제로 대상 간의 물리적인 거리를 응축시키거나 수렴시켜 그 안에서 벌어지는 운동성과 변화를 드러내는 방식에 의해 구체화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고찰은 ‘날이미지시’가 객관 세계가 존재론적인 의미의 발생 차원에서 구현되고 있다는 점으로 모아진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istic of the representation space of 'raw image poetry' is potentiality. The space of potentiality implies the impersonality of the subject and about the object sometimes it is converged to one meaning and it also exhales to many meanings. That is, it is a space that waits for the differentiation of meaning and also a space that is realized as a manifold in which 'the difference itself' is inherent. The appearance of this potentiality is represented by the 'interval' space. Here the 'interval' doesn't have the sameness such as 'A is B' as the premise but it is A and it is also B and it is a space that newly creates something that does neither belong to A nor B and in this point the paradoxical coexistence of meaning and meaninglessness could be confirmed.
    The reason why 'raw image poetry' came to have this appearance was because metonymy conducted a main function in the process of the representation of poetry, and the metonymy that was used at this time was something that goes from the direction of 'meaning' to the direction of 'meaninglessness' and thereby reveals non-identity that exists in the objective world. At this point the question of why 'raw image poetry'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metonymy can be solved.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unique recognition system by which Kyoowon Oh sees the objective world. He judged that a thinking that centers on the subject can transform and distort the objective world and in order to escape this he intended to abandon the principle of a metaphor that constitutes the regulatory system of ideas and to unfold the image of poetry centering on the principle of metonymy in which only 'an empty signifier' floats.
    In 'raw image poetry', the way of metonymy excludes the poetry image’s coming to a conclusion of a fixed meaning. Therefore in 'raw image poetry' the process of unfolding of an image is not converged to a specific meaning but exhales. This appears not through the way to give a meaning to the objective world but through the process to describe it as it is.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 appearance about time and space that 'raw image poetry' has is revealed. That shows an aspect of time and space on the basis of 'simultaneity'. This appearance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mutual relation with the technique that effectively shows an aspect of time and space. The appearance of time and space that appears in 'raw image poetry' is reproduced in a way that is similar to the way of editing films and 'plan-sequence'. The process of unfolding of an image in 'raw image poetry' is expressed by artificially severing the continuity of time and the distance of space and by letting the appearance of the objective world that is difficult to capture with one angle stand in line side by side in a way of metonymy.
    The meaning and value of 'raw image poetry' of Kyoowon Oh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may be found in something that formed the difference that makes the existence of the objective world in the dimension of ontology possible in a poetic way. The main subject could confirm that 'raw image poetry' was realizing the difference that is inside in the objective world through the potentiality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interval' space. Difference is the element that can realize the objective world the most truthfully and the most realistically. The meaning of 'raw' in 'raw image poetry' is not irrelevant to this. As the secret of existence that the objective world has is revealed to the outside through difference and the meaning of the objective world is renewed again and again by that,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raw image poetry' are also in something that lets the meaning of existence be generated new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