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레히트 후기시에서의 자연 (Natur in der späten Lyrik Brech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브레히트 후기시에서의 자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38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용민

    초록

    브레히트는 암울한 시대에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거나 노래해도 되는지를 끊임없이질문하고 고민했으며 그것을 망명기 시의 중심 주제로 삼기도 하였다. 그가 암울한 시대에 대한 비판과 “꽃피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탄” 사이에서 갈등을 느꼈다는 것은 그 둘 중 어느 하나를 쉽게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고민의 해결책으로 브레히트는 시대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새로운 자연시를 제시하였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 자연을 노래하거나 시대와 자연을 연결시켜 노래함으로써 둘 사이의 갈등을 극복하는 변증법적 합일이 망명기에 브레히트가 시도한 새로운 자연시의 특징이다. 망명에서 돌아와 평화로운 시대에 살게 된 브레히트는 그 어떤 갈등이나 고민 없이자연을 자연 자체로 다시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일까? 브레히트의 후기시에 자연이 부쩍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그런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그의 후기시에서 자연은 초기시나 중기시와는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는가? 아니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붉은 실처럼 공통적인 특징이 그의 후기시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대답을 후기시에 나타난 자연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찾아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In der späten Lyrik Brechts, die er in der DDR nach dem Zurückkehren vom Exil geschrieben hat, kommt die Natur häufiger als in der Lyrik der Exilzeit vor und scheint idyllisch zu sein. In dem Gedicht ‘Tannen’ schildert das lyrische Ich ohne Verzögerung die Schönheit der Tannen, dass sie in der Frühe kupfern sind. Und auch in einem anderem Gedicht wird ein harmonischer Blumengarten ausführlich dargestellt. Wenn man nur diese Gedichte liest, könnte man zum Fazit kommen, dass Brecht endlich den Konflikt zwischen Natur und Gesellschaft, der ein wichtiges Thema seines Exilgedichtes war, überwunden hat und anfängt, die Schönheit der Natur ohne Vorbehalte zu genießen und darüber schreiben zu können. Aber wenn man andere Gedichte betrachtet, die um die gleiche Zeit geschrieben wurden, wie z.B. ‘Böser Morgen’, ‘Schwierige Zeiten’, scheint dieses Fazit zweifelhaft zu sein, weil es sich in ihnen um die Kritik an der Zeit handelt, in der das Gespräch über Bäume wieder problematisch wurde. Brecht schrieb die obengenannten Gedichte im Juli und August 1953 in Buckow, direkt nach dem Arbeiteraufstand am 17. Juni 1953 in der DDR, dem gegenüber er eine ambivalente Haltung hatte, indem er einerseits die Forderungen der Arbeiter gerecht fand und andererseits ihre Gewalttätigkeit und Richtungslosigkeit kritisierte. Es gilt auch für seine Haltung zur DDR-Führung, deren Hastigkeit und Fehler er in Frage stellte und trotzdem feste Solidarität mit ihr erklärte. Die Natur erscheint deswegen in seiner späten Lyrik ambivalent und widersprüchlich wie in seinen Exilgedichten. Das hängt mit der Welt- und Naturanschauung Brechts zusammen. Er betrachtete keinesfalls die Natur als ein außerhalb von Menschen selbständig existierendes Subjekt, sondern immer als einen Gegenstand, der stets in der Wechselwirkung mit dem sie betrachtenden Ich und der Gesellschaft steht.
    Dadurch unterscheidet sich seine Naturlyrik von der traditionell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