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수환 시의 타자 인식 연구 -중기시에 나타난 ‘고통’과 ‘시간’ 표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Other in Ahn Soo-hwan’s Poetry -Focusing on Representations of “Suffering” and “Time” in His Mid-period Work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12
27P 미리보기
안수환 시의 타자 인식 연구 -중기시에 나타난 ‘고통’과 ‘시간’ 표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85호 / 215 ~ 241페이지
    · 저자명 : 이동재

    초록

    이 글은 ‘고통’과 ‘시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에 놓고 안수환의 시세계를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두 개념은 안수환의 시 세계를 통어(統御)하는 타자에 대한 상상력의 결을 보여주며 시작(詩作)의 원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안수환의 시는 고통을 주체를 해체하고 타자와의 윤리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타자적 계기로 바라보고 있다. 또한 그의 시는 선형적인 근대의 시간관에 반대하며 흐름과 지속으로서의 시간, 순환적인 시간을 강조한다. 시간이 수리적 언어로 번역될 때, 흐름과 연결은 깨어지고 세계는 부동의 일자 내부에서 정지되기 때문이다. 이는 타자가 없는 세계, 존재자가 연대할 가능성 자체가 소거된 세계다. 이렇듯 시간의 운동성 강조하는 시인의 태도는 그가 구사하는 비유법(은유와 환유)에서도 확인된다. 그는 음양 이진법으로 기술된 <주역>의 논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은유와 환유를 배치한다. 인접성의 원리에 따라 심상의 흐름을 표지하는 환유를 전면화하고 유사성의 원리에 근거한 은유를 후경으로 빼어 명사의 실체성을 교란한다. 존재자들의 뒤섞임과 교차를 지지하는 안수환 고유의 기법으로 보인다. 안수환의 시는 고통과 시간에 대한 이해를 매개로 타자를 지향해 나가면서 동시에 이를 객관화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고수한다. 이러한 이율배반이 그의 시 세계가 지닌 중요한 고유성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etic world of Ahn Soo-hwan, focusing on the keywords “suffering” and “time.” These two concepts reveal the contours of Ahn’s imagination concerning the Other and are closely linked to the principles of his poetic creation. Ahn’s poetry views suffering as a pivotal element that dismantles the subject and enables the formation of ethical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dditionally, his work opposes the linear, modern concept of time, emphasizing time as flow and continuity, as well as its cyclical nature. When time is reduced to numerical language, the flow and connections are disrupted, and the world becomes immobilized within a singular, unchanging entity. This represents a world devoid of the Other, where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mong beings is erased.
    The poet’s emphasis on the dynamism of time is also evident in his use of metaphor and metonymy. Following the binary logic of yin and yang as presented in the <Book of Changes>, Ahn foregrounds metonymy, which marks the flow of imagery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iguity, while relegating metaphor, grounded in the principle of similarity, to the background. This technique disrupts the substantiality of nouns, supporting the blending and intersection of beings—a hallmark of Ahn’s unique poetic method.
    Ahn’s poetry, mediated through his understanding of suffering and time, strives toward the Other while maintaining an attitude of refusing to objectify it. This paradox constitutes a significant and distinctive feature of his poetic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