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 대상 시에 나타난 다문화 양상 - 하종오 시를 중심으로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Poems for Marriage Migrant Women - Focused on Ha Jong Oh’s Poetry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8
29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 대상 시에 나타난 다문화 양상 - 하종오 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70호 / 451 ~ 479페이지
    · 저자명 : 윤혜옥

    초록

    지구적 자본주의의 흐름은 이주화 현상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본고는 하종오 시에 등장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다문화 양상이 어떤 형태를 보이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하종오 시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다문화 양상은 대체적으로생존의 여성화와 엇갈리는 욕망, 문화적 배제와 타자화, 지구화와 다문화 공간의 상생으로 드러난다.
    생존의 여성화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빈곤과 실업의 심화로 여성들이 이제는 새로운 생계책임자로 나서서 지구화의 흐름에 편승하고, 한편으로는 여성들로 하여금열악한 이주의 조건을 수용하도록 압박한다. 한국으로의 결혼이주를 선택하는 동남아여성들은 한국에서 국제결혼 부부의 가정폭력이나 부당한 유기, 심지어 결혼이주여성의자살 등 위험요소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결혼이주를 선택한다.
    이러한 이주여성들 또한 가족의 생계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동기와 더불어 잘사는나라에 가서 중산층의 라이프스타일을 누리고 싶은 근대적 욕망도 동시에 갖고 있다. 남성들 역시 시부모 봉양과 자녀 양육에 헌신해 줄 온순한 여성을 원하지만 동시에 결혼을 통해 자신도 근대화된 한국의 어엿한 구성원이라는 지위를 얻고 근대적 가족의 가장으로 살고 싶다는 욕망을 함께 갖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가정 부부의 서로 엇갈리는욕망들은 폭력, 이혼, 불신 등 새로운 문제와 갈등을 초래한다.
    또한 문화적 배제와 타자화에서는 한국식 문화만을 강요하고 이주여성 출신국가의문화를 수용하려 들지 않는다. 이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 모순적인 태도이다. 두 문화가 만나서 풍요로운 문화로 융합하려는 배려가 결여된, 타문화를 일방적으로배제하는 상황에서 이주여성들의 고립과 타자화는 가속화될 뿐이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도 전지구화와 다문화 공간의 상생을 통하여 보통의 가정처럼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꾸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들의 사랑과 결혼 생활을 통하여 탈영토화 된 문화들을 끊임없이 수용하며 실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flow of global capitalism clearly exposes a migration phenomenon. In this situation of the time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marriage migrant women appearing in Ha Jong Oh’s poetry. The multicultural aspects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mostly revealed as feminization of survival, crossed desires, cultural exclusion and other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pace in Ha Jong Oh’s poetry.
    In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now women become breadwinners and get a lift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because of intense poverty and unemployment in developing countries. Moreover, such condition presses them to accept the conditions of poor migration. Although many Southeast Asian women know that there are many dangerous elements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including domestic violence, unjustified abandonment, and marriage migrant women’s suicide, they choose marriage migration to Korea.
    While they have motivation to help their family’s livelihood, they have a modern desire to enjoy a middle-class lifestyle in developed countries. Men not only want obedient women who dedicate themselves to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childcare, but also have a desire to get a position of a respectable member in modernized Korea and live as the head of a modern family through marriage. Such crossed desires of multicultural couples often cause new problems and conflicts such as violence, divorce, or distrust.
    Cultural exclusion only exacts Korean culture and does not accept the culture of migrant women’s countries. It is a contradictory attitude that does not admit a cultural difference. It creates a situation that lacks for concern of making one family by two cultures and unilaterally excludes one side and intensifies migrant women’s isolation and otherization within the family.
    However, marriage migrant women dream of happy marriage life as other ordinary families and try to realize it through globalization and the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pace. They also accept and practice deterritorized culture through love and marriage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