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승희 시의 아이러니 연구 (A Study of Irony in Kim Seung-hee’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4
26P 미리보기
김승희 시의 아이러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0호 / 307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유정

    초록

    본고는 1980년대 한국 여성시가 ‘아이러니’를 본격적으로 수용하여 ‘여성적 문학’에서 ‘여성주의 문학’으로 도약하게 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고 본다. 이에 1980년대 김승희 시에 나타난 시적 아이러니를 분석하여, 이 시기 여성시가 지닌 현대성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아이러니’를 ‘현대성’의 특징이자, ‘현대 예술’의 시작점이라고 본 버먼의 관점을 받아들였다.
    1980년대 김승희의 시적 주체는 비정상적인 현실에 저항하고자 하면서도 세속적 안위를 보장받기 위해 현실과 공모할 수밖에 없는 양가적 삶의 태도를 보여준다. 1980년대 여성시 텍스트에서 억압적 현실을 상반된 감정과 태도로 살아가는 시적 주체가 발견된다는 것은 이 시기 여성시인들이 표면적 인식으로 파악할 수 없는 인생의 복잡한 양상들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세속적 삶과 공모하는 시적 주체의 출현은 이 시기 김승희가 서정시의 아우라가 사라진 공간을 작품화해 현대성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됐음을 의미한다. 김승희 시 텍스트에서 시적 주체의 양가적 태도는 ‘아이러니’의 형식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비서정성을 본질로 하여 시적 주체의 인식론적 난처함을 드러내기 위한 미적 수단이 된다.
    초기 시 텍스트에서 현실을 자신의 이념적 지도 아래 관망하고, 교조적이며 단일한 삶의 태도를 보이던 시적 주체들은 세속 도시 내부의 비평적 대상이 되면서 자본주의적-도시적 삶을 살아가는 군중들의 무의식을 더 잘 관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초기 텍스트에서 계몽 이성의 진리가 실현되기만 하면 평등한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겼던 시적 주체의 믿음은 실제 현실에서 어떤 식으로든 좌절되고 만다. 이는 시적주체가 전래의 시가 갖고 있던 선험적 미의 형식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삶을 살아가는 군중들의 변화된 삶의 모습을 담아낼 수 있을 때, 현대성을 지닐 수 있음을 뜻한다. 타락한 시대와 연루된 존재로서 시적주체는 텍스트에 필연적으로 환멸과 죄의식의 감정들을 산출한다.
    한편, 김승희는 군중들의 자발적인 ‘연대’와 일상의 미물들이 보여주는 ‘존재론적 대응’을 보여줌으로써 세속적 현실과 단절될 수 없는 시적 주체가 희망을 예감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김승희 시에 나타난 아이러니는 현실의 중력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시적 주체들이 세속적 삶과 타협하면서도 현실의 삶 너머를 희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irony in Kim Seung-hee’s poems of modernity. According to Berman’s view, the core of modernity is the irony that reflects a poet’s desire to separate from crowd of people, as in the case of Baudelaire.
    Kim Seung-hee's poetic subject reflects an ambivalent attitude to life, inevitably conspiring with a secular reality in order to guarantee comfort. In the 1980s, with women found to be living in a repressive reality, the poetic subject was one of conflicting emotions and attitudes. This means that 1980's female poets expressed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emotions that did not reflect the surface perception from a balanced perspective. Kim Seung-hee’s work shows the emergence of a secular poetic subject embodying modernity through traditional lyrics and other methods. The ambivalence of Kim Seung-hee’s poetic subject appears in the form of irony, revealing the epistemological annoyance of the poetic subject by means of a non-lyrical nature as its essence.
    The poetic subject is a state of unconsciousness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crowd of capitalist society as a critical object within a secular city. Modern poets are able to capture the changing modern life when some of the crowd choose to live a secular life. A fallen poetic subject reveals the inevitable disillusionment and feelings of guilt in the text.
    Meanwhile, Kim Seung-hee suggests voluntary “solidarity” and the ontology of little things. The irony in Kim Seung-hee’s work is recognized as the only way in which a poetic subject can escape the reality of gravity;he or she can crave a life beyond the secular, and yet compromise with re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