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수영 시「전화이야기」연구 (A Study on Kim Soo-Young’s Poem “Telephone 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2.02
36P 미리보기
김수영 시「전화이야기」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9호 / 113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창욱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 시 「전화 이야기」를 적극적인 시적 태도를표명하는 시로서 재해석하는 것이다. 즉, 「전화 이야기」는 비단 신선한 시적 딕션(diction)을 도입한 시일 뿐만 아니라, 1960년대 김수영의 시적세계관을 관통하는 시로서 재해석 될 수 있음을 본 논문은 주장하고자한다. 이는 해당 시의 시사(詩史)적 의의가 더 넓은 맥락에서 재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우선 「전화 이야기」의 시적 효과가 발생되는 과정을 연극성과의 관련 하에 규명한다. 본고의 제안에 따르면, 「전화 이야기」1, 2연의 발화는 ‘관객을 바라보는 배우의 시선 각도’의 측면에서 세층위로 구분될 수 있다. 작품 안의 발화, 작품 밖을 향한 발화, 그리고 그둘 사이에 걸쳐있는 발화가 그것이다. 이렇듯 작품 안과 밖을 넘나드는세 층위의 발화가 충돌하며 나란히 놓여있다는 점이 「전화 이야기」의 시적 효과가 발생되는 주된 원천이라 주장된다. 이러한 세 층위의 구분은1, 2연의 발화를 넘어 1~3연 전체 구성에 또한 적용된다.
    시적 효과와 구성에 대한 이러한 분석은 나아가 시의 가능한 의미 해석과 한 데 묶인다. 즉, 시의 ‘지각(遲刻)’을 ‘보여주는’ 1, 2연의 ‘소음- 퍼포먼스’에 이어 그 ‘지각’을 ‘진술’하는 3연이 나란히 병치되는 형식적구성은, 다음과 같은 의지적인 시적 태도를 표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있음이 궁극적으로 주장된다:“ ‘절망’의 ‘이행(enforcement)’ 그 자체가될 수 없는 시의 ‘지각’을, 기어코 나는 ‘진술’하겠다.” 이러한 해석이 타당하다면, 「전화 이야기」는 해당 시가 달성할 수 있을 고유의 미적 가치를 획득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시로서 가치평가 될 수있음을 본고는 나아가 주장한다.
    이렇듯 본고는 시적 효과와 구성에 대한 체계적 분석, 가능한 의미 해석, 이유가 제시된 가치판단을 더불어 수행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interpret Kim Soo-young’s poem entitled “Telephone Story” as a poem expressing an active poetic attitude. In other words, this paper intends to assert that “Telephone Story” is not only a poem which introduces a fresh poetic diction, but also that it can be reinterpreted as one that effectively reveals Kim Soo-young’s poetic worldview during the 1960s. This means that the poetic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poem can be reevaluated from a broader context.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poetic effect of “Telephone Story” occurs in relation to theatricality.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this paper, the utterances of “Telephone Story” ’s first and second stanzas can be divided into three layers in terms of ‘the angle of the actor’s gaze looking at the audience’. These are the utterances within the work, the utterances facing outside the work, and the utterances which span between the two. It is argued that the primary source of the poetic effect of “Telephone Story” is that the three layers of utterances which cros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 collide and lie side by side. This three-layer division is also applied to the full composition of the 1st to 3rd stanzas beyond the utterances of 1st and 2nd stanzas.
    This analysis of poetic effects and composition are further tied to the interpretation of possible meanings of poetry. In other words, it is ultimately argued that the formal composition, in which the ‘noise-performance’ of the first and second stanzas showing the ‘lateness’ of the poem is followed by the third stanza making a ‘statement’ about the ‘lateness’, can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a willful poetic attitude : “I will be making a ‘statement’ on the ‘lateness’ of poetry which cannot be the enforcement of despair itself.” if this interpretation is valid, this paper further asserts that “Telephone Story” can be evaluated as a good poem because it can be judged that it has acquired the inherent aesthetic value that the poem is able to achieve.
    As such, this paper attempted to perform the systematic analysis of poetic effects and composition, the interpretation of possible meanings, and value judgment with rea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