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전략 -신현림․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Strategy of Sexuality of Modern Poems by women -Mainly from the Poems of Shin Hyeonlim and Kim Seonwo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전략 -신현림․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9호 / 259 ~ 292페이지
    · 저자명 : 김순아

    초록

    이 논문은 여성시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전복의 전략’을 신현림․김선우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폈다. 여성시에서 섹슈얼리티는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는지, 그것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여성의 몸으로 성차와 체현을 강조하는 프랑스페미니스트 이리가레이의 논의를 참조하여 두 시인의 시를 읽었다. 이리가레이에 따르면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남성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거나 생산을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은 남성의 대상이나 소유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여성이 자신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성적 존재로서 주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하나는 가부장적 질서 내에 각인되어 있는 남성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에게 긍정적인 성 정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성적 의미질서를 구성하는 것이다.
    신현림․김선우는 타자의 자유와 주체성을 강조했던 90년대 시인들로, 이리가레이와 유사한 전략으로 타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의 시는 가부장적 질서가 배제하고 소외시킨 (여)성의 진실을 보여주면서, 성적주체로서의 여성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제시한다. 신현림의 시에서 여성은 주로 남성의 성적 쾌락과 생산을 위한 도구로 재현된다. 따라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가부장적 질서를 수용하는듯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여성 육체에 대한 남성의 시선과 환상을 위반하기 위한 전략이다. 김선우의 시에서 여성은 더 이상 남성의 욕망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허구적 (여)성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의 시에는 모든 만물이 서로 교류하고 사랑을 나눈다. 이는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토피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시는 억압과 피억압이라는 불평등한 관계를 넘어 모두가 조화로운 새로운 세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영어초록

    This abstract is about the strategy of sexuality and subversion mainly written from the texts of Shin Hyeonlim and Kim Seonwoo. In order to research how the sexuality in women's poems in 1990s is reenacted and what it means, ultimately I read the two poets' poems on the basis of French feminist Luce Irigaray's argument, which emphasizes the gender gap and the embodiment of a woman's body. According to him, the role of a woman's body in androcentric society is perceived as men's sexual object or a tool for giving birth. However, woman is not an object or a possession of a man. To make good her position, she secures woman's sexual identity by using two strategies. One is to show the man's ideology engraved in the patriarchy and the other is to compose the feminine order which provides women their positive gender identity.
    Shin Hyeonlim and Kim Seonwoo are the poets of the 1990s who emphasized the liberty and the individuality of others and raised their voices using a similar strategy to Luce Irigaray's.
    By showing the truth of woman which the patriarchy system eliminates and neglects, their poems present new image of sexually independent woman. In Shin Hyeonlim's poems, woman is reenacted as man's sexual toy and a tool for giving birth. As a result, woman's sexuality appears in a negative way. It seems to accept the order of a patriarchy, but its ultimate goal is to betray the man's fantasy for woman's body. In Kim Seonwoo's poems woman no longer exists as a fictional one for man's lust. In her poems, all the things interact and love one another It seems to show a utopia as a substitute for the negative reality of life. Their poems are very meaningful in seeking a new world where everybody lives harmoniously, transferring away from the unequal relationship of oppressing and being oppr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