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의 탄식시 연구 (A Study on the Lament in Yun Dong-J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윤동주의 탄식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3호 / 205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신

    초록

    본고는 윤동주 문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중에서도 탄식시의 개념을 빌려와 시에 나타난 탄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탄식시는 개인 탄식시와 공동체 탄식시로 나눠볼 수 있다. 개인 탄식시의 특징으로는 ① 건넴말과 처음 구조요청 ② 하나님을 향한 탄식 내지는 고발, 일인칭 탄식, 그리고 적에 대한 탄식 ③ 신뢰고백 ④ 간구 ⑤ 찬양서원을 들 수 있다. 시편 22편에는 이 다섯 가지 요소가 모두 나타나 있다. 그런데 윤동주의「무서운時間」과「悲哀」,「八福」,「슬픈 族屬」에는 ② 하나님을 향한 탄식 내지는 고발, 또는 일인칭 탄식, 그리고 적에 대한 탄식만이 남아 있다. 이는 윤동주 시인이 그의 시에서 어휘, 소재, 모티프의 차원을 넘어서서 신과의 독대(獨對), 즉 신을 부르고 신의 응답을 듣는 것에서 온통 내밀하게 기독교적인 개념에 충만했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필자는 그 탄식을 그의 행동을 촉구하는 데 있어서 처절하게 하나님 앞에서 결단을 내려야 하는 ‘무서운時間’이라고 보았고, 또 ‘슬퍼 하는자’를 식민지 하에서 가슴이 찢어지도록 우는 시인의 애끓는 심정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borrowed the concept of a “lament poem” from Christian literatur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amentations in the poems of Korean poet Yun Dong-ju. Lament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lament and communal lament.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al lament include ① connotation and first request for rescue, ② lament or accusation toward God, lament of hardship, and lament about an enemy, ③ confession of trust, ④ earnest request, and ⑤ vow of praise. These five elements are all included in Psalm 22. However, ② lament or accusation toward God, lament of hardship, and lament about an enemy remains in the poems “Fearful Time,” “Sorrow,” “The Beatitudes,” and “Sorrowful Race” by Yun. This shows that Yun was fully and secretly committed to the Christian concept in his private encounter with God, i.e. calling for God and hearing His answer, beyond the dimensions of vocabulary, subjest matter, and motif in his poetry. Therfore, regarding urging his action, the author saw the lament as a “fearful time” in which a decision has to be made desperately in front of God, and a “sorrowful 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astated poet, who cried his heart out under colonial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