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명의식으로서의 詩 創作과 시적 대상으로서의 自然- 尹東柱論 (A study on the poetry of Yoon Dong-Jo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9
29P 미리보기
소명의식으로서의 詩 創作과 시적 대상으로서의 自然- 尹東柱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9호 / 133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미연

    초록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음력 11월 7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태어나, 1945년 일본의 후쿠오카(福岡) 감옥에서 29세의 너무 젊은 나이로 옥사했다. 그는 1934년(17세)부터 시(詩)를 쓴 것으로 되어 있다. 1930년대의 그의 시는 자연의 동심을 그대로 표현한 순수시였다. 그는 시인(詩人)으로 등단해서 작품을 발표한 것이 아니라, 문학도로서 신문과 잡지에 투고를 한 것이다. 그의 작품수준이 편집자의 마음에 들었는지 꽤 많은 편수가 활자화되었다. 그러나 그는 공인된 시인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1948년 1월에 유고시 31편을 모아 정지용이 서문을 쓰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를 출간했다. 이때부터 윤동주는 시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처음엔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그의 시가 민족의식을 노래한 일제(日帝)에 대한 저항시라는 데에 논의가 집중되었다. 그러나 그의 시가 작품분석을 통해 연구되면서 단순한 저항시(抵抗詩)가 아니라는 견해들이 더 많아지게 되었다. 사실 윤동주 자신도 외적(外的)인 저항운동을 하지 않았으며, 그의 작품도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훈성이나 이념성이 전연 없는 순수 문학작품이었다. 본고에서도 그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그의 시는 순수 서정시이며, 그의 시집(詩集)『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에서도‘하늘과 바람과 별’은 ‘無爲의 自然’이며, 詩는 人爲의 창작을 의미한다. ‘無爲의 自然’은 존재이지만 人間存在는 ‘無’라는 것을 의식할 때, 人爲가 시작된다. 인위가 창작이 되는 것이 시를 쓰는 행위이며, ‘존재를 구현’하는 일이다. 창작이 아닌 조작이 되면, 인간존재의 구현이 아니라, 허위가 된다.
    시의 창작은 신의 부름인 소명(召命)이며, 그 응답이다. ‘신과의 대화’를 위해 십자가를 지는 일이다. 윤동주의 시가 바로 신(神)의 부름에 응답하는 신화(神話)의 창작이다. 그러므로 윤동주는 시인 중의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는 영감으로 신의 부름에 응한 참 시인이었다. 그리고 인간존재의 구현을 위해 쉬지 않고, 무시무시한 고독을 견딘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것이 곧 인간 자체의 자화상(自畵像)이다. 이 두 가지를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Yoon Dong-Joo was born in a town called Myung-Dong in Man-Joo on December 30, 1917, and deceased at the age of 29 in Fukuoka Prison, Japan. It is known that he started writing poems in 1934. His poems written in the 1930s are characterized by his pure expressionism based on the compassionate appreciation of the nature. His literary works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submissions, not through recommendations by reputable poets. The relatively high number of his poems printed in the periodicals indicates that his poetry was positively accepted by the editors. However, he was not a poet recognized in the literary world. In 1948, his poetry collection entitled Sky, Wind, Star, and Poem was posthumously published with his 31 poems, preceded by a preface written by Jeong Ji-Yong. From that time, his poems have drawn much attention.
    At first, the appreciation of his poems was focused on his expressions of the nationalistic sentiment against the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Later, an increasing number of scholastic analyses on his poetry began to acknowledge that his poems go beyond expressing th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ism. In fact, the poet himself was neither physically involved in resistance activities, nor his literary works contained any apparent intent to instill the nationalistic consciousness or ideology into the minds of the readers. The present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his works with a conclusion that his poems are those of purely affectionate appreciations and that the words “sky, wind, and star” in the title of his poetry book Sky, Wind, Star, and Poem refect the “nature” beyond artificial intervention and “poem” refers to the creative process based on artificiality. The nature beyond artificiality is an existence, but the artificiality comes into being through acknowledging that human existence is simply voidness. The practice of writing poems is made possible by the transformation of human volition into creation and the substantiation of the existence. Any kind of manipulation discoloring the creation is far from the realization of human existence, but a mere expression of nothingness.
    The creation of poems is a calling from God, and the apt response to the calling. It is like taking the cross for the purpose of conversing with God. The poetry of Yoon Dong-Joo is the creation of spiritual (mythical) writings in his response to God’s calling, which enthrones him as the Poet of the poets. Yoon Dong-Joo was a real poet who inspirationally responded to God’s calling. He also exhibited the commendable stature of humans who endure the formidable type of loneliness for the substantiation of mankind. That is definitely a self-portrait of the mank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to these point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hi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