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시언해』와 근대시인의 번역시 비교를 통한 한시 번역시의 문학사적 고찰 - 두보의 <登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Hansi’s Translation by Comparing the Translation of 『Tushieonhae(杜詩諺解)』 and Modern Poets - Focusing on Dufu’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9
33P 미리보기
『두시언해』와 근대시인의 번역시 비교를 통한 한시 번역시의 문학사적 고찰 - 두보의 &lt;登高&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54권 / 139 ~ 171페이지
    · 저자명 : 정소연

    초록

    본고는 국문이 처음 존재하기 시작한 15세기와 국문 전용이 공식화된 이후인 20세기 전반기에 한시가 어떻게 번역되고 수용되는지 비교한 것이다. 15세기는 한문과 한시가 중심이면서 국문이 존재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고, 20세기는 한문과 한시가 존재하지만 국문과 자유시가 중심이 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대비적이다. 한문과 국문의 위상이 서로 상반되고 시에 대한 인식이 전혀 다른 중세와 근대의 한시 번역의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시가가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지 그 문학사적 일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세기 말에 이루어진 『分類杜工部詩諺解』(1481)(이하 『두시언해』로 지칭) 1500여 수의 번역시 중에서 근대 시인들의 두보 시 번역과 겹치는 11수의 작품을 찾고, 이 중에서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표작인 <登高>를 중심으로 『두시언해』와 박종화, 김억, 신석정의 번역시를 비교하였다.
    『두시언해』의 번역시는 주석을 없애거나 줄이고, 한시 율시의 대구, 압운, 평측 등의 형식을 살리기보다 우리말로의 번역시 그 자체가 가장 완성도 있는 결과물이 되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한시와 국어시가를 모두 향유하는 지식인층의 시가 향유의 역량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도착어인 우리말로 된 번역시를 통해서 중국 한시를 조선의 시로 향유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반면 근대 시인들의 번역시는 율시의 형식성을 살리고 보존하면서도 각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율시의 형식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내용적으로 미련(尾聯)의 번역은 『두시언해』와 정반대로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 중세 동아시아 문학권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근대에는 ‘개인’적이고 개성적인 창작 역량으로 바꾸어 근대 자국어로 된 자유시의 중요한 특징이 무엇인지를 대중을 대상으로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Chinese poems(hansi) were translated and accept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free poetry in Korean is the center, after the 15th century, when Korean texts first existed. The late 19th century was officially declared. The 15th century is still a time when Chinese poetry and Chinese characters are centered, but the 20th century is when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exist, but Korean and Chinese poems are centered. Through the translation aspects of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the two modern periods of the Middle Ages and the Chinese poetry, which are entirely different in the perception of poetry, we wan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growing up and finding self-identity.
    To this end, 11 of the 1,500 translation poems of the late 15th century were found overlapping with those of modern poets. Among them, <Denggao(登高)>'s translation poems of Park Jong-hwa, Kim Eok, and Shin Seok-jeong were compared. Through Chapter 2, we could see that the translation of 『Tushieonhae(杜詩諺解)』 itself became the complete result of Korean language rather than eliminating or reducing the annotation and using the forms of Daegu, rhyme, and intona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intellectuals who enjoy both Korean and Korean poetry among intellectuals contribute greatly to the work of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and creating Korean and Joseon poems, which are arrival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rough Chapter 3, modern poets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Yulsi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ity, and the translation of the conclusion was translated oppositely from 『Tushieonhae(杜詩諺解)』. Through this, Hansi, the center of East Asian literature in the Middle Ages, was transformed into individual works and individual creative capability in modern times to show the public wha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free poetry in the modern vernacular 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