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향 시에 나타난 초현실 이미지의 구조와 시적 태도 (Structure of Surreal Image and Poetic Attitude in Cho-Hyang's Poet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조향 시에 나타난 초현실 이미지의 구조와 시적 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총 / 88호 / 169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초록

    본고는 “해방기와 분단을 잇는 시기의 최대 미학적 피해자(로서) 한국 모더니즘”의 대표 시인 조향의 창작 기법에 집중하여 그의 시 세계를 재고찰해보고자 한다. 50년대 ‘초현실주의’ 시론과 시작(詩作)을 통해 갱신, 개진되는 그의 시 세계는 당시 역사적 맥락에 대한 명징한 의식의 산물로서, 당대를 타개할 문학적 실험이자 고안이었다. 그러나 시인이 보여준 시 세계의 난해성 및 비주류성은 그 의의를 증명하고자 하는 여러 유의미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보다는 한계가 더 두드러져 전달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조향의 주요한 특징으로 기술되는 ‘초현실주의’의 정체를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함으로써 시인이 개진한 시 세계의 의의를 새로이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검은’ 이미지를 통해 살펴본 조향의 초현실주의는 ‘소재로서의 검은 이미지’와 ‘부정으로서 검은 이미지’ 사이의 긴장적 관계에서 ‘초현실 이미지’로 발현하였고, 본고는 그 구조와 특징을 세세히 밝힘으로써 초현실주의 시가 도달하고자 하는 인식의 확장과 정신의 해방을 설득력 있게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은 초현실주의의 특징에 따르면 조향은 계몽으로 대표되는, 해방 이후 사회에 만연했던 근대성에 대한 열망(탈식민에의 욕망)을 경계하며 거듭되는 ‘판단중지’ 및 파괴와 생성을 수행하는 시 창작 방법을 발전시켰다고 독해할 수 있다. 덧붙여 ‘예술의 자율성’은 위의 창작 방법을 실천하기 위한 보완적 방법으로서, 현실 세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지와 더불어 시인은 현실에의 불충분한 개입보다도 언어 사용자로서 스스로를 포함하여 언어-세계를 근본적으로 부정함으로써 탄생하는 비타협적인 초현실 이미지 창작에 집중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poetic attitude of "Cho Hyang," the representative poet of post-war Korean modernism, as the biggest aesthetic victim of the period linking liberation and division, and thus reconsider his poetic world. His poetic attitude, which was renewed and improved in the '50s as "surrealism" was, among other things, a product of a clear consciousness of the historical context at the same time, a literary experiment and a draft that would break through the era. However, it is true that despite the many significant studies today by researchers seeking to prove its significance, the limitations of the poetic world he has shown have been more pronounced than its meaning. This paper aims to newly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Cho Hyang's poetic world by presenting more convincingly the identity of 'surrealism', known as the main features of his method. Cho Hyang's surrealism, which was viewed through the "black" image, expressed the surreal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image as a "material" and the "black" image of "negative." As a result, Cho Hyang is wary of the desire of decolonists who have been prevalent in society since the liberation period, and has developed a method of creating poems that carry out repeated "epoche" and destruction and production. "Autonomy of art" is another major way to practice the above method, and the intense desire to fundamentally change the real world has repeatedly focused on the intransigent surreal image (including itself as a member of the real world) rather than insufficient intervention into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