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의 산문화 경향과 시적 이미지 (The Prosaic Tendency and Poetic Image of Romanticism Poem in Early Modern Korea)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11
64P 미리보기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의 산문화 경향과 시적 이미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8호 / 73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혁

    초록

    시의 근대성은 시적인 것과 산문적인 것이라는 두 극(極) 사이에서 방황해간 궤적으로 나타난다. 한국 근대시는 낭만주의를 통해 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 초기 낭만주의 시인들은 현실로부터 자율적인 시적 공간을 마련하여 시적인 것을 확보하고자 했다. 하지만 삶을 옥죄는 현실에 대한 감정의 토로로 나아가거나 은유적으로라도 산문적 현실을 담아내야 했기 때문에 산문화에의 지향으로 이끌리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 근대 낭만주의 시에는 시적인 것과 타율적인 산문성이 모순적으로 공존한다.
    근대 초기 한국의 전통적인 정형률이 근대시의 정립 과정에서 축출된 이후, 정형율격에서 자유롭게 된 한국 근대시는 시적인 것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가 성립의 관건이 되었다. 더 이상 시가의 율격에서 시적인 것이 확보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최남선의 근대시 정립의 실패는 이를 잘 보여준다. 최남선은 시적인 것이란 정형률의 유무로 보는 전근대적인 시관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시에 산문을 도입해야 한다는 또 다른 근대적인 요구를 그는 따라야 했다. 이 전근대적인 의식과 근대적인 요구의 절충에서 바로 신체시라는 기형적인 시 형태가 탄생했다.
    1910년대 『학지광』에 실린 몇몇 시들은, 정형률에서 탈피하면서 산문과는 다른 자유시의 독자적인 미적 가치를 마련하려는 시인들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서정적 주체의 내면 공간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시적인 것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하지만 동시에 최남선처럼 시에 산문을 도입하는 실험도 병행했다. 하지만 시의 공간에 산문적인 것이 침투하면서 시인들은 시적인 것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는 『학지광』의 자유시 기고자들은 자유시에 대해 이론적으로 인식하고자 하지는 않았다는 것에서도 기인한다. 이러한 자유시에 대한 인식부족은 김억 등의 창작자들이 더 이상 자유시를 써나가지 못하게 한 요인일 것이다.
    김억 이후 근대 자유시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주요한이었다. 주요한의 데뷔작들에서, 독자들은 서정적 주체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정조를 마주대하고 있다는 느낌을 얻게 된다. 그러나 주요한은 곧이어 발표한 「불놀이」에서, 어두운 감정들이 어떤 상황에서 발생되는가의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그 감정 자체를 토로하는 시적 형식을 택했다. 이를 위해 단아한 서정이 아니라 일상을 기록하는 산문이 시에 투입되어야 했다. 이와 함께 시가 산문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그는 시에 ‘시적인 것’ 역시 마련해야 했다. 「불놀이」는 격정으로 흥분한 마음이 시적인 것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에 답했다.
    격정의 표현으로 시적인 것을 담지하는 시에 대해 ‘낭만주의’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 1920년대의 많은 시들이, 낭만적인 감정의 분출을 통해 산문에 리듬을 만들어냄으로써 시적인 것을 획득하는 「불놀이」의 길을 따라갔다. 이상화와 김소월은 산문이 개입되는 낭만주의의 두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들은 시에 시적인 것을 유지하면서 산문을 들여오는 방안으로 ‘대지’의 상징에 기댔다. 이들은 ‘대지의 시학’을 통해 한국의 산문적 현실을 시에 담아내면서, 이를 낭만적으로 승화시켰다. 그들에게 ‘대지’는 남루한 현실의 시적 승화를 위해 끌어들여온 상징이었다. 그래서 이들 시에서 산문화 경향이 불가피하게 나타난다. 산문적 현실의 승화를 위해서는, 일단 시에 산문을 들여와야 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oetry modernity has appeared in the trace of wandering between poetic extreme and prosaic extreme. Korean modern poetry established through the Romanticism. Korean Romantic poet of early modern age tried to secure the poetic making autonomous poetic space from reality. However Korean modern poetry inclined to the prosaic tendency because of exposing the feelings of choking reality or having to express the prosaic reality metaphorically. Therefore Korean Romantic modern poem had coexistence of both the poetic and the heteronomous prosaic.
    After Korean traditional fixed rhythm was expelled from the established process of modern poetry in early modern age, Korean modern poetry which got free from fixed rhythm had focused on how to secure the poetic. Because there was no way to secure the poetic in the poem rules anymore. Choi Nam-Seon’s failure of establishing modern poetry showed this very well. Choi Nam-Seon had the old-fashioned poetry viewpoint which the poetry should have fixed rhythm. However he had to follow another modern demand which poetry must adopt prose. The New Style Poetry which is a freakish poem style was born in the compromise between old-fashioned consciousness and modern demand.
    Several poems which was published in the 『Hak Ji Kwang』 of 1910s showed the effort of poet who has created the independent aesthetic value of free verse differently from prose getting out of fixed rhythm. They tried to make the poetic forming the inward space of lyrical subject. They conducted experiment which poetry adopted prose like Choi Nam-Seon at the same time. However poets had hard time securing the poetic while the prosaic passing through in the poem space. This also came from the reason that free verse contributor of 『Hak Ji Kwang』 did not understand the free verse theoretically. Thes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free verse seemed to be one reason preventing creator such as Kim Yeok from writing free verse continuously.
    After Kim Yeok, Ju Yo-Han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modern free verse. Readers got the feeling of facing the atmosphere brewing from the inner side of lyrical subject at the Ju Yo-Han’s debut works. However Ju Yo-Han adopted the poetic form of exposing the feeling itself in order to record the gloomy feeling occurred in which situation at the 「Fireworks」 published afterward.
    It was necessary not for graceful lyric but for daily record prose to put into the poetry. Ju Yo-Han also had to make ‘the poetic’ in the poetry in order for poem not to fall into prose. 「Fireworks」 answered this question by means of expressing passionate and excited mind poetically.
    The poetry to contain the poetic with passionate expression could be named as ‘Romanticism’. A lot of poetry of 1920s followed the way of 「Fireworks」 acquiring the poetic by means of making the rhythm in the prose through the eruption of romantic emotion. Lee Sang-Wha and Kim So-Wol showed the aspect of Romanticism intervening the prose very well.
    They leaned on the symbol of the ‘Earth’ as a way of adopting the prose maintaining the poetic in the poetry. They not only melted the prosaic reality of Korea into the poetry through the ‘Poetics of Earth’ but also sublimated it romantically. The ‘Earth’ was the symbol to sublimate the shabby reality into poem for them. Therefore the prosaic tendency was obliged to appear in their poem. Because the poetry should adopt prose for the sublimation of prosaic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